인체의 척추뼈 속에는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길인 척추관이 있다. 척추관이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좁아져 신경을 비정상적으로 압박하는 현상이 '척추관 협착증'이다.

척추관 협착증의 일반적 원인은 몸의 퇴행성 변화이다. 척추관 안의 인대가 퇴행성 변화로 인해 두꺼워지거나 척추신경을 조이게 되면 신경의 혈액순환이 부족하게 돼 신경길이 좁아져 발생하는 것이다. 주로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는 50~60세 이후에 허리를 무리하게 사용하다 생기는 골관절염이 그 원인이다. 또 선천적으로 요추관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을 경우에는 비교적 이른 나이에도 척추관 협착증이 발생한다.
척추관 협착증이 진행되면 먼저 허리, 하지 부위에 통증이 발생한다. 일정시간을 걸으면 다리가 저리거나 쑤시게 되고, 근력이 약화되는 듯한 증상이 생긴다. 또 때때로 엉덩이 쪽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등 증상은 다양하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 뒤 잠깐 앉거나 쉬면 척추관의 반경이 넓어져 신경압박이 감소돼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된다. 그래서 '잠쉬 쉬면 괜찮겠지'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척추관 협착증을 방치하는 바람에 증상이 심해지면 보행에 큰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창자나 방광으로 가는 신경길을 압박해 장기의 조절 능력 상실을 일으킬 수도 있다.

척추관 협착증 진단에는 여러 가지 검사방법이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척추뼈의 구조 및 모양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가 있다. 하지만 엑스-레이만으로는 협착증 진단을 할 수 없으므로 정밀검사인 CT(컴퓨터 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척추 주위의 조직인 디스크, 인대와 신경의 압박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검사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된다.

척추관 협착증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모두 수술하는 것은 아니다. 증상에 따라 물리치료, 견인치료, 근력강화운동, 약물요법이나 보조기 착용과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이런 치료에도 상태가 개선되지 않은 채 통증의 강도가 크고 일상생활이 힘든 경우에는 좁아진 신경길을 넓혀주는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미세현미경 신경감압술이 있다. 미세현미경을 통해 척추관을 넓혀 주기 때문에 절개부위가 작아 출혈이 거의 없으며, 신경을 누르는 두터워진 인대나 뼛조각만 제거하기 때문에 수술 후 재발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회복도 매우 빠르다.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서 겪게 되는 퇴행성 변화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은 일상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때문에 퇴행성 변화를 늦추는 생활 습관이 곧 예방의 지름길이다. 적절한 운동과 적당한 체중,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또 무거운 물건을 나르거나 허리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가을은 풍요로운 계절이자 지난 여름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 수확의 계절이다. 부디 각자 건강관리를 철저히 해 풍요로운 가을을 건강하게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