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레에 올려진 도자기의 형태를 형상화한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돔하우스 전경. 외벽을 둘러싼 타일은 신상호 초대관장의 작품이다. 사진제공=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클레이아크 돔하우스, 물레의 도자기 표현
‘ㄴ’자형 건물은 작품 빚어내는 손 은유
단순 박스형 큐빅하우스 전시 기능 충실

대지 좁은 분청도자관 기능 압축 설계
전통가마 전면 배치해 축제 건물 상징
접시 형상에서 곡선 유추한 디자인 지붕



가야토기와 분청사기. 김해가 자랑하는 역사유물이다. 지금도 김해는 도자기 생산지로 유명하다. 도예공방이 많이 모여 있는 진례면에 가면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과 김해분청도자관을 나란히 만날 수 있다.
 
클레이아크는 흙(clay)과 건축(architecture)의 합성어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지역의 전통산업인 도자와 건축이 협업해 서로의 예술적, 재료적, 활용적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자는 목적으로 설립된 미술관이다. 이곳은 전통과 현대, 순수미술과 응용미술, 예술과 과학이 만나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곳이다. 요즘 흔히들 말하는 융합이나 통섭을 일찌감치 실현한 미술관이라고 할 수 있다.
 

▲ 돔하우스 내부 중앙홀. 사진제공=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이 미술관은 낮은 구릉의 경사면에 넓은 대지를 확보하고 여러 개의 건물을 여유롭게 배치하고 있다. 도로에서 들어가면 전면 'ㄴ'자형의 건물과 원통형의 전시관 돔하우스를 먼저 볼 수 있다. 이 건물을 설계한 건축가에 따르면 2개의 건물은 가야토기의 선과 분청사기의 빛, 그리고 가야도공의 혼을 형상화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도자기의 모양을 재현하기보다는 도자기의 제작과정을 은유하는 방법으로 형태를 형상화했다고 한다.
 
전면의 ㄴ자형 건물은 도자기를 빚는 도공의 손을 은유한 형태라고 한다. 전면의 많은 부분이 열려 있어서 전통건축의 대문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도, 미술관의 광장을 감싸 안아 도로로부터 미술관을 보호하고 있다. 직각의 형태로 기존의 진례면 중심지의 도시적 직교질서에 반응하고 있다.
 
그 안에 위치한 돔하우스의 원통은 물레 위에 올려진 도자기의 형태를 표현한 것이다. 주변 도시의 직각 형태와 자연 녹지의 곡선의 결절점에 위치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해석할 수 있다. 돔하우스의 외벽을 둘러싸고 있는 타일은 신상호 초대미술관장의 작품이다. 예술작품을 실내벽체에 전시한다는 기존의 개념을 타파하고 외벽에 설치한 새로운 시도이면서 이 미술관의 성격을 표현하는 상징물로 역할하고 있다.
 

▲ 김해분청도자관 내부 전시실 모습.

돔하우스 주출입구에 들어가면서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중앙홀은 건물의 중심 역할을 하는 곳이다. 다른 실(室)들이 감싸고 있어서 외부의 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돼 있다. 천장에 돔 형태의 유리천창을 설치해 하늘에서 빛이 들어오게 했다. 이 공간은 원형이어서 소리의 공명현상이 발생해 음향적으로는 약간 문제가 있다. 기획전시의 대표적 전시물이 설치돼 전시의 특성을 표현하기도 하고, 각종 이벤트를 실시하기도 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하는 다목적 공간이다.
 
홀의 벽체에 붙어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관람의 동선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각종 행사 때에는 위에서 바라볼 수 있는 관람공간이 되기도 한다. 소그룹별 대화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원통에서 직각으로 돌출된 후면의 경사로는 1층에서 2층으로 이동하는 동선인 동시에 외부로 나가서 다른 전시관으로 이동하는 출입구 역할을 하면서 경사지의 특성을 잘 살리고 있다.
 
원통형의 돔하우스와 대비해 이름지어진 박스형 큐빅하우스 전시관도 외벽 일부에 타일을 현대적 방식으로 마감해 미술관의 성격을 표현하고 있다. 이 건물은 돔하우스와는 대조적으로 전시공간을 단순한 박스형으로 설계해 전시관의 기능에 충실하고 있다. 1층의 북쪽 외벽은 전면 유리로 처리하고 내부에 휴게실을 설치해 전시 관람 중에 진례면의 자연을 바라보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 김해분청도자관 서쪽 측면 전경.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낮은 구릉의 경사지에 넓은 대지를 확보해 건물을 배치하고 조경을 우수하게 계획함으로써 여유 있게 산책할 수 있는 외부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높은 곳에 위치한 큐빅하우스에서 내려오면서 진례면의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할 수 있어 예술작품과 자연을 같이 즐길 수 있는 미술관이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과 나란히 서 있는 김해분청도자관은 가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찬란했던 김해 도자기와 분청사기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키고 도예인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2009년 개관했다. 이 전시관은 저자가 설계사무소와 협업해 김해시 공모전에 당선해 설계한 작품이다.
 
김해분청도자관은 대지가 상당히 좁은 탓에 필요한 기능을 압축적으로 접어서 넣는 방식으로 설계했다. 건물을 대지의 동쪽과 남쪽 외곽에 배치하고 북쪽 도로변에는 마당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2층에 옥상마당을 배치해 좁은 대지를 가능한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곳에서는 매년 김해분청도자기축제를 연다. 전통가마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것이 축제의 중심 행사다. 그래서 전통가마를 건물의 전면에 배치해 분청사기를 전시하는 건축물인 것을 상징하면서 축제 때 전통가마가 축제의 중심 요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했다. 이용자가 전시실과 판매실을 관람한 뒤 2층 옥상마당으로 올라가서 진례면의 자연경관을 감상하고, 마지막으로 전통가마를 보면서 관람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했다. 2층 옥상마당과 전통가마의 계단은 축제 때 1층 마당에서 펼쳐지는 행사를 관람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만들었다. 지붕은 분청사기 접시의 형상에서 유추한 곡선으로 디자인했다. 전통적인 지붕 처마선과 유사한 느낌이 들어 나쁘지 않았다.
 
건축의 외부 재료는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과 유사한 재료를 선정했다. 지붕에는 아연도강판을, 외벽에는 압출성형시멘트판과 목재를 사용해 재료의 물성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자 했다.
 
김해분청도자관과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김해의 전통산업인 도자 관련 전시시설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대조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도자관이 좁은 대지에 건축적 기능을 압축적으로 접어 넣고 있다고 한다면,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넓은 대지에 시설들을 여유롭게 펼쳐놓고 있다. 또 도자관이 전통적인 도자와 분청사기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이 분야에 새로운 기술과 시간성을 접어 넣는 작업을 위주로 한다면,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도자를 바탕으로 다른 분야와 협력 교류하면서 도자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등 도자분야의 영역성과 시간성을 펼쳐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끝> 김해뉴스
 




고인석
인제대 건축학과 교수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진례면 송정리 산3번지, GNI종합건축사사무소㈜ 한현호·지승선 설계, 2006년 준공, 연면적 8825㎡
▶김해분청도자관 /진례면 송정리 360, 인제대 고인석과 ㈜미성종합건축사사무소 김종근 설계, 2009년 준공, 연면적 1233㎡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