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운영사, 1일부터 제도 폐지
61명 연간 인건비 6억 원 줄여
"위급 상황 시 대응 애로" 지적


 
㈜부산김해경전철과 김해시가 경전철의 무인운행에 따른 이용객 불안을 덜기 위해 도입했던 안전도우미를 경비 절감이라는 이유로 내세워 모두 해촉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는 역마다 한 명뿐인 역무원이 관리, 민원 등 승객 관련 업무 외에 안전까지 떠맡게 돼 위급 상황 등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 제대로 대응하기 힘든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경전철 안전도우미가 승객들의 안전을 살피고 있다.

㈜부산김해경전철과 김해시는 4일 "경전철 재구조화 과정에서 시민 부담을 덜기 위한 운영경비 절감 차원에서 불가피하게 안전도우미 제도를 폐지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경전철을 5년 동안 운영하면서 시스템이 안정돼 긴급상황 보고, 안내, 유실물 보관 등 보조업무를 담당해 온 안전도우미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됐다. 현장에서 안전문제가 발생했을 때 안전도우미들이 즉각적인 조치 등 실질적인 역할을 맡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도우미가 없더라도 문제는 없다"고 덧붙였다.
 
부산김해경전철은 2011년 개통 당시 무인운영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도우미 제도를 도입했다. 경전철 개통 당시에는 모든 운행차량에 안전도우미가 탑승했다.

이후 그 비율이 점점 줄어 2014년에는 출·퇴근 시간 등에만 탑승했다. 2014년 '세월호 사건'으로 안전이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자 그 해 7월부터 다시 모든 차량에 안전도우미가 배치됐다. 1일 폐지되기 전까지는 전체 차량의 45%에 안전도우미가 탑승했다.
 
안전도우미는 평일 하루 4~5시간 일할 경우 월 60만~70만 원 상당의 급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부터 올해 3월까지 안전도우미 61명에게 지급된 용역비는 매월 5500만 원으로, 연간 6억 원 규모였다고 한다.
 
안전도우미 A 씨는 "가끔 통신장애 등으로 차량운행에 지장이 있거나 스크린도어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승객들이 당황하는 경우가 생긴다. 안전도우미는 이때 긴급보고는 물론 상황 설명을 통해 승객들 안심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김해YMCA 박영태 사무총장은 "무인경전철의 안전 우려가 완전히 불식된 것은 아닌 만큼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안전도우미가 노약자·장애인 안내, 갑작스런 사고 발생 시 모니터 등 보이지 않은 역할을 한 측면은 없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면서 "재구조화를 기점으로 시민, 전문가가 참여해 경전철 안전과 관련한 의견을 수렴하고 점검할 위원회나 모니터단 등 민관협력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부산김해경전철 관계자는 "안전도우미는 승객들에게 무인운영의 불안감을 줄이고 안정감을 주기 위해 도입했던 제도다. 경전철의 필수 유지 업무를 맡지는 않았다. 전면 재구조화로 운영, 관리 등을 맡았던 3사가 통합되면서 업무 조정 등을 통해 활용할 인력이 생기는 만큼 이들이 안전요원의 업무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도 "안내도우미의 역할은 연락, 안내 등 보조적인 업무에 한정됐다. 폐지된다고 해도 운영에 지장이 없다. 재구조화로 비용절감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안전도우미 비용이 경영효율화 우선순위에 포함됐다"고 말했다.
 
경전철처럼 무인으로 운영되는 부산도시철도 4호선의 경우 안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역사마다 2교대로 공익근무요원을 배치하고 있다. 부산도시철도의 한 역무원은 "올해부터 4호선 역사 근무인원이 2명에서 1명으로 줄면서 공익근무요원이 충원됐다. 이들은 역무원이 민원이나 다른 업무로 자리를 비울 때 관제카메라 감시 등 보조적인 업무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해뉴스/ 심재훈 기자 cyclo@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