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매스컴의 영향으로 50세 이상의 많은 사람들이 예전보다 시력이 못하다면서 노인성 황반변성을 의심하는 것을 보게 된다. 하지만 실제 50세 이상에서 침침함을 느끼는 가장 많은 원인은 백내장이다.

백내장이 없는데도 시력이 떨어진다면 망막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망막질환 중에서 빈도가 높은 질환 중의 하나가 바로 황반변성이다. 이 중 비중이 높은 게 노인성 황반변성이다.

노인성 황반변성을 이해하기 위해선 우선 황반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눈은 외관상 흰자위와 검은자위로 나눠진다. 흰자위를 결막, 검은자위을 각막이라 부른다. 검은자위를 가까이에서 자세히 들여다 보면 갈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있다. 이를 홍채라 부른다. 홍채 가운데 검은 동공이 위치한다. 우리는 동공을 통해 사물을 보게 된다. 동공을 통과한 빛은 일종의 신경인 망막에 상을 맺게 된다. 그 중심 부위가 바로 황반이다.

황반은 지속적으로 빛을 받기 때문에 빛에 의한 노화에 취약하다. 예를 들면 야외에서 자주 햇볕에 노출되는 사람이 사무실에 근무하는 사람보다 피부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황반변성의 진행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는 만큼 참고하면 좋다.

황반에는 사물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시세포가 아주 세밀하게 모여 있다. 시세포는 수명을 다하면 분해돼 흡수된다. 그 자리는 새로운 시세포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정상적인 시세포의 교체 과정은 색소상피라 불리는 조직이 맡는다. 그러나 노화 때문에 색소상피가 퇴화하면 시세포 찌꺼기가 황반에 점점 쌓이게 된다. 이는 정상적인 시기능의 저하로 이어져 시력 저하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황반변성은 건성과 습성으로 구분된다. 찌꺼기만 확인이 될 때는 건성황반변성이라 하여 별다른 치료 방법이 없다. 노화로 인한 시력저하로 인정하고 주기적인 경과 관찰을 해야 한다.

황반변성의 다른 모습인 습성황반변성의 경우 시력 저하가 심한 사례가 많다. 진행에 따라서 실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건성과는 다르게 치료를 할 수 있다. 다만 치료 경과가 썩 만족스럽지는 않다. 현재 치료제로 개발된 약물들은 황반변성을 치료하기보다 억제한다고 보는 게 더 합당하기 때문이다. 약물의 유효기간은 한 달에서 두 달이다. 약물이 다 흡수되면 황반변성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약물치료는 눈 안에 직접 주사(안내주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처음 습성황반변성이라고 진단하고 치료를 권유하면 눈에 직접 주사한다는 사실에 거부감을 느끼는 환자들이 많다. 그러나 실제 안내주사는 통증이 심하지 않다. 다만 행위 자체가 거부감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특히 한 번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주사를 계속 맞아야 한다는 사실에 거부감이 크다. 

현재 효과가 확인된 황반변성 치료약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눈 속에서 효능을 지속하는 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황반변성은 별다른 치료 방법이 없어 실명으로 이어지는 질환이었다. 이런 점을 생각하면 최근 개발된 치료법은 과거에 비해 큰 진전으로 볼 수 있다. 또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뤄지는 만큼 향후 더 효과적인 약물의 출시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때문에 황반변성을 겪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인 검사와 치료로 시력을 유지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