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큰일이다.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다는 말은 이미 공공연하게 이야기 되고 있는 현실이지만, 갈 수록 사회 양극화의 골은 더욱 깊어만지고 있다. 70~80년대에는 경제적 수준이 지금 보다도 덜 했어도 열심히 노력하면 지금 보다는 훨씬 좋아질 수 있다는 꿈과 희망, 그리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있었지만 21세기도 10년이 지난 지금은 희망을 이야기 하기에는 마음이 너무나 어둡다.
 
사회 양극화 현상에 대한 문제는 여러 가지로 이야기 될 수 도 있지만 가장 핵심 적인 요인은 대기업과 대투기 자본이 아닌가 싶다. 내수 경기가 침체하고 서민들의 주머니는 얇아져도 수출 경기는 해마다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 기업이 수익을 내도 몇몇 대주주들과 주식을 소유한 재벌들에게나 이익이 돌아갈 뿐이다.
 
특혜와 편법 속에서 성장해온 대기업의 문제는 밤을 새워 이야기해도 모자랄 판이지만, 직접적인 주민의 이해관계와 관련해 회자되기 시작한 것은 아마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대형마트가 우리의 골목상권을 넘보기 시작하면서부터 일 것이다.
 
서민들의 소비 패턴을 바꾸어 놓은 대형마트는 1996년 신자유정책의 일환으로 '유통시장 자유화'라는 명목 아래 외국의 투기 자본과 대기업에 유리하도록 법적, 제도적 규제의 빗장을 풀어 준 게 시작이었다. 대기업 소유의 백화점 및 대형마트의 설립 제한을 철폐한 이후, 국내의 소비 시장은 대기업에게 급격하게 잠식 당하며 소상공인들의 삶의 터전이 상실되고 있다.
 
지난 10여년 간 대형마트와 대기업의 SSM(슈퍼슈퍼마켓)은 3배 가까이 늘어난 반면 지역의 작은 슈퍼마켓은 3만 개 이상이 감소했다. 더구나 큰 도시의 상권을 장악한 대기업들이 대형 마트의 난립으로 수지 타산이 맞지 않자 일명 슈퍼마켓이라 불리는 집 앞의 골목상권마저도 넘보며 갖은 법의 허점과 편법을 동원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밀고 들어오고 있다.
 
대형마트가 하나 들어서면 인근 지역의 중소유통업체 60%가 1년을 버티기 힘들다고 한다. 중소기업청의 통계를 보면 대형마트가 지역에 1개 들어설 경우 재래시장 4개, 슈퍼 350개, 슈퍼 및 유통상인, 그 외 부수적인 제조업까지 포함 5만 명 이상이 일자리를 잃거나 타격이 있다고 한다. 지금 김해에도 이미 3개의 대형마트가 입점해 있다. 그리고 2~3개의 대형마트가 입점을 준비하고 있다. 김해의 인구 비례에서 보기에도 이미 적지 않은 숫자이다.
 
전통시장 상인이나 중소 유통상인은 결국 지역민이다. 이들은 지역에서 생산 활동도 하지만 소비자이기도 하다. 이들의 수입이 줄고 갈 곳이 없어지면 지역경제의 선순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어디 그뿐인가. 대형마트의 물류 공급원은 지역이 아니다. 따라서 지역 생산 활동이 위축될 것이다.
 
김해에서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이마트의 문제는 지역 단체장의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김해시는 중소상인들의 요구에 귀를 귀울여야 한다. 중소상인들이 요구하는대로 오는 2014년까지 지구단위 변경을 유보하고, 중소상인들의 생존권을 제대로 보호 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더구나 부지 매입과정은 누가 보아도 특혜성 시비로 얼룩질 가능성이 있어 명백한 김해시의 입장표명과 더불어 시민들이 수긍할 수 있는 내용을 내놓아야 한다. 중심을 어디 두느냐에 따라 해법이 달라질 것이다. 시민들의 사랑과 신뢰를 얻는 지도자의 모습을 보고 싶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