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내일에 대한 걱정은
미래 위해 현재도 포기하는 특성


"다음에 밥 한 번 하자." 한국의 직장인들이 흔히 하는 말이다. 이처럼 우리는 살아가면서 종종 문제 상황을 막연한 미래로 미루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런 근거 없는 약속 안에 인류를 이끈 위대한 힘과 사피엔스를 인간으로 만든 위험한 특성이 숨어 있다면 믿겠는가? 최근 출간된 <미래중독자>는 우리 선조들이 도구나 불, 언어보다 훨씬 혁명적인 것을 발명했다는 대담한 주장을 제안한다. 이 책의 저자인 다니엘 S 밀로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 교수가 제시하는 가장 위대한 인류의 발명품이란 바로 '내일'이다.

저자는 호모 사피엔스가 어느 날 문득 '내일'이라는 개념을 떠올리면서 '오늘'만 살아가는 동물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한다. 사피엔스를 오늘의 인간으로 만든 힘은 뇌의 비약적인 성장, 엄지손가락, 불의 발견이나 언어도 아닌 "내일 보자"라는 인사였다는 것이다.

이 대담한 주장은 "왜 5만 8000년 전 인류는 갑자기 아프리카를 떠났을까?"라는 물음에서 시작된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인류가 언제 아프리카를 떠났으며 어떻게 전 세계로 흩어졌는지에 대해 규명해왔다. 그러나 '왜 인류가 굳이 괜찮은 환경을 떠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이야기되지 않고 있다.

지구상의 모든 동물 가운데 오직 인간 일부만이 소말리아 반도라는 비옥한 환경을 떠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북극까지 지구 전역으로 퍼졌다. 물론 기후 조건이나 자원의 부족, 또는 다른 종과의 경쟁이나 내부적인 갈등 등 어떠한 생태학적 이유를 추정할 만한 근거도 없었다.

저자는 바로 이 지점에서 여느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만의 특징을 찾는다. 호모 사피엔스는 "지금 여기만 아니면 어디든 좋아"라는 내일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두려움으로 오늘을 사는 낙원인 아프리카를 떠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인간만이 지구상의 동물들 가운데 유일하게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를 위해 이미 존재하는 현재를 기꺼이 포기할 수 있다." 심지어 "내일 저곳은 오늘 이곳보다 낫겠지"라는 막연한 기대로 오늘까지 일궈낸 모든 것을 포기하는 모험을 감수하기도 한다고.

하지만 '내일'에 집착한 나머지 돌아온 반대급부도 있다. 어쩌면 이게 더 핵심이다. 인류는 내일이라는 상상을 발명한 이후 삶에서 항상 불확실한 미래를 염두에 두느라 만성적인 불안과 공포에 시달려야 했다. 또 상상된 미래를 대비하는 과정에서 축적과 잉여가 탄생했고, 호모 사피엔스는 '과잉'의 소용돌이라는 현세의 지옥에 빠지게 되었다. 결국, 인류에게 내일이라는 발명품은 결코 빠져나올 수 없는 가장 큰 축복이자 저주였던 것이다. 책은 미래에 중독된 인류에게 어떤 내일이 기다릴지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부산일보 제공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