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 김해문화의전당에서 열린 제6회 김해문화재단 정책포럼에서 발제자와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문화재단, 2018~2022년 사업진행
정책포럼서 운영방향·전략 모색
기획자, 예술인 모아 원탁 토론도



김해문화재단과 김해문화의전당은 지난 16일 전당 내 영상미디어센터에서 '문화도시에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제6회 김해문화재단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지역의 문화예술단체와 관계자, 문화기획자, 예술인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김해시가 내년부터 추진하는 김해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의 운영 전략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해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은 김해문화재단이 2018~2022년 맡아 진행하는 사업으로 국비, 도비, 시비가 연간 7억 5000만 원 투입되는 중장기 국책 프로젝트이다.
 
이날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에서는 관련 전문가들이 국내외 문화도시 전략과 김해 문화도시 계획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2부에서는 지역 문화예술계 대표들이 참석해 새 정부의 문화정책 전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1부는 중앙대 박양우 교수의 기조발제 '지역문화 진흥과 문화 도시'로 시작됐다. 박 교수는 "있는 그대로의 지역문화를 발굴하고 보존하며 현대화시키는 작업이 지역문화정책의 근간이 돼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일명 '팔 길이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정부의 불간섭을 강조했다.
 
이어 건국대 이병민 교수는 '세계문화도시들의 성공전략'을 소개했다. 세계 최고의 생태도시인 브라질 쿠리치바, 도시재생으로 성공한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 등 해외 문화도시 성공사례를 선보이고, 문화도시가 되기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충남문화산업진흥원 김상혁 사무국장과 청주문화산업진흥재단 김미라 팀장은 각각 천안과 청주의 사례를 통해 '국내 문화도시들의 추진전략'을 설명했다.
 
마지막 발제를 맡은 플랜비문화예술협동조합 이승욱 상임이사는 '김해 문화도시 사업추진계획'을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갔다. 그는 특히 "김해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은 5년이 걸리는 국내 최장기 사업이다. 지역예술문화 생태계에는 기관, 단체, 시민이 있다. 추진단이 만들어진다면 기존의 단체들을 포함시키고 이들 모두가 협업해 잘 이끌어 가야한다"고 당부했다.
 
발제가 끝난 후에는 성균관대 김재범 교수와 김해시의회 박민정 사회산업위원장, 김해신어미래문화 김석계 회장 등 4명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지정토론자로 참가해 토론을 벌였다.
 
2부 행사인 '문화청책포럼'은 영상미디어센터 멀티미디어강의실에서 라운드테이블 형태로 진행됐다. 지역 문화단체 대표 10여 명이 둘러앉아 새 정부 문화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쏟아냈다.
 
김해예총 장유수 회장은 "요즘 정책들은 시민이 직접 문화를 향유하는 생활예술문화 쪽으로 기운다. 또 기관이 행사나 축제를 열 때 외주업체에 일을 맡기니 업체들이 외부예술인들을 끌어들인다. 전문가집단 육성에 맞춘 정책이 좀 더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생활문화연합회 염경철 회장은 "생활문화동호회들은 취미활동을 하는 모임이다. 그래서 기관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의료계의 코디네이터와 같이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해주길 바란다. 공간지원도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청년예술인들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시비를 들여 개최하는 행사는 지역예술인을 최소한 30% 포함시켜 달라", "새로운 것보다는 안정적인 기획에 예산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
 
김해문화의전당 윤정국 사장은 "전국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잘 새겨서 내년부터 시작되는 김해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에 적용시키도록 노력하겠다. 이제 문화도시의 첫걸음을 내디뎠을 뿐이다. 앞으로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화기획자, 단체, 시민들과 협업해 나가겠다.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해뉴스 /이경민 기자 min@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