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1등신문' 부산일보가 전액 출자한 자회사 <김해뉴스>는 2010년 12월 1일 창간호를 발행했다.
 
객원기자로서 <김해뉴스>를 통해 두 가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정보의 착시현상 혹은 불균형이다. 온오프를 막론하고 수없이 다양한 언론이 존재하고, SNS를 통해 엄청난 양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소통되고 있지만 정작 지역의 뉴스와 정보는 외면 당하고 있었다. 이건 마치 지방과 단백질로만 이뤄진 식단을 보고 완벽한 밥상인 냥 착각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둘째, 지방 권력은 감시와 비판에 있어 거의 완벽할 정도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정도나 돼야 언론의 한 귀퉁이를 차지할 뿐, 일상적이고 관례화된 불합리와 부조리는 관행처럼 인식되고 있었다.
 
<김해뉴스>는 이런 '판'을 바꾸는 데 주력했다. 철저히 지역의 이슈에 천착하고 아울러 권력의 감시와 비판이라는 언론 본연의 기능에 충실했다. 권력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랩독(애완견)'이 되기보다 권력을 감시하는 '워치독(감시견)'이 되었다.
 
하지만 권력과 멀어질 수록 오히려 독자와의 거리는 좁혀져 갔다. 10호 정도 발행되니 제보가 들어오기 시작했고, 격려성 광고가 줄을 이었으며 후원금이 답지했다. 시장의 비상식적인 인사와 청소행정 관련 부실용역 의혹을 폭로한 기사에 발끈한 김해시가 <김해뉴스>의 구독을 전면 중단하자, 특정 단체에서 그보다 많은 정기구독자를 모집해 주기도 했다.
 
나는 <김해뉴스>에서 '맛을 찾아서'라는 고정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단순한 '맛집'을 찾기보다는 지역의 음식과 식당이 가진 스토리를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관점을 바꾸니 소재는 무궁무진했다. 새벽시장의 수제비 좌판에서부터 제조업체의 사원식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을 찾았다. 맛이라는 소재는 지역을 보는 또 다른 프레임이었다.
 
창간 초기 취재를 가보면 별로 달가워 하지 않았다. 취재 의도를 설명하기 보다는 취재비나 광고료에 대한 의혹을 해소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정도였다.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짜 음식도 사절이다. 기자가 음식값을 지불하니 업주들은 오히려 불안해 한다. 그러나 관행처럼 굳어진 부조리부터 바꾸고 싶었다.
 
기사를 본 당사자들로부터는 예외 없이 "음식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초심으로 돌아가는 계기가 되었다"는 감사의 말을 듣는다. 그들이 초심으로 돌아갈 때, 그 혜택은 고스란히 독자에게로 돌아갈 것이다.
 
인터넷을 앞세운 수많은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등장과 SNS의 약진으로 기존 종이 신문은 위기를 넘어 종말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해뉴스>는 세상을 향해 묻는다. "이게 최선입니까, 확실해요?" 창간 이후 지금까지가 질문이었다면, 앞으로는 답을 스스로 증명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그 과정에 객원기자라는 '관계자'로 함께 할 수 있음에 새삼 뿌듯하다.

>>댓글
'아로아' : 나날이 발전하는 김해에 이렇게 멋진 언론이 있었네요. 부럽습니다. 외국은 중앙지보다는 지역신문이 인기가 좋다더군요. 멀리 있는 곳의 유명인사보다 이웃집 소식이 더 필요한거지요. 앞으로 김해뉴스가 더더욱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홧팅!
 
'6610kbh' : 밥벌이 때문에 여러 지방에서 짧게는 한달 길게는 2년 정도 생활했었는데요. 지방 언론지의 양아치짓은 정말 눈뜨고 못 볼 지경이었습니다. <김해뉴스>같은 정직한 풀뿌리 정론지가 많이 늘었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언론비평전문지 미디어오늘에 실린 <김해뉴스> 박상현 객원기자의 칼럼과 댓글 일부를 전재했습니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취생몽사'를 치시면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