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뉴스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김해의 난개발' 취재를 맡았다. 마을과 공장지대를 찾아다니며 난개발의 역사를 살펴보는 과정은 기존 주민들이 자신의 삶에서 어떻게 소외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하지만 난개발 역사는 동전의 양면처럼 급속한 산업화와 성장의 과정이기도 했다. 
 
사실 남부지방의 대표적 산업도시인 울산, 창원, 여수, 광양 등은 국가가 전략적으로 키운 산업입지다. 김해처럼 국가산단 한 곳 없이 기업도시로 급성장한 사례는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1세대 김해의 제조업은 1970~1980년대 안동공단을 중심으로 섬유, 고무, 신발 등을 생산하며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금속 가공, 부품 소재 중심의 2세대 제조업으로 바통을 이어주며 자연스럽게 규모의 경제를 형성했다. 하지만 최근 조선, 자동차 산업의 침체와 함께 2세대 제조업은 수명을 다해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문을 닫는 영세업체들이 계속 늘어난다면 제조업 공동화 현상마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김해시가 현 상황을 심각한 위기로 받아들이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김해시가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니지만 좀 더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지원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올해 김해시는 '일자리 경제' 분야에 지난해보다 86억 원이 증액된 264억 원을 편성했다. 시는 경영안정자금을 확대하고, 메디컬 융·복합 사업을 집중지원하는 등 지역산업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창업카페 활성화와 업종전환 보조 등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해오던 계속사업 비중이 높고, 신규사업의 비중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특히 10인 미만 영세업체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산업구조, 부산·창원 등 인근도시에 비해 취약한 산·학·연 기반 등 현실적으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긴 안목에서 산업구조를 재편하기 위한 지원책이 개발돼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이나 지원 근거도 없는데 무작정 예산을 배정할 순 없지만 시가 중장기 산업육성전략을 가지고 있다면 단계별 맞춤형 지원도 가능하다.
 
시의 중장기 산업전략의 부족을 보여주는 대목이 김해중소기업비즈니스센터 센터장의 부재다. 지난 2015년 11월 센터가 설립된 이래 의생명센터장이 수장 역할을 겸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적임자를 물색했지만 마땅한 인물을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렇지만 김해의 미래전략산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김해시의 대표적 지원기관이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수장이 부재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은 아쉬운 부분이다. 
 
지역제조업이 기로에 선 지금, 시가 기업지원과 산업육성을 복지, 문화, 교통 등 통상적인 행정분야처럼 다뤄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제조업에 외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리드가 필요한 시점이다. 10~20년 뒤 지역제조업의 미래는 기업 뿐 아니라 김해시의 노력에 달려있다.
김해뉴스 /심재훈 기자 cyclo@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