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구간 중 김해와 부산을 연결하는 낙동대교와 김해금관가야휴게소의 전경. 고속도로 개통으로 동남권이 한동네 시대로 접어들었다. 사진제공=한국도로공사


  김해~기장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역사적 개통 


오늘 대대적 개통행사 … 오후 5시 48.8㎞ 전구간 개방
도로 인접 도시 볼거리·먹거리·경제 공유 ‘벨트화’



20년 산고 끝에 동남권 교통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대동맥이 뚫렸다. 진영-기장 29분, 김해-울산 40분 등 경남동부지역과 부산, 울산을 40분 생활권으로 묶어줄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오늘 개통한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식은 7일 오전 11시 김해와 부산의 경계인 대동면 월촌리 금관가야휴게소에서 성대하게 진행된다. 개통식에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해 허성곤 김해시장, 한경호 경남도지사 권한대행, 서병수 부산시장, 오규석 기장군수 등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장이 참가한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민홍철(김해갑), 자유한국당 김세연(금정), 김도읍(북구강서을), 윤상직(기장) 등 국회의원과 이강래 한국도로공사 사장 등 임직원, 주요기관장, 지역주민 등 500여 명이 행사에 참가할 예정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날 오후 5시부터 도로 전체구간을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계획이다.
 
고속국도 600호선인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1999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후 20년 만에 개통하면서 동남권이 사실상 하나의 경제·생활 블록으로 통합되는 새 역사를 쓰게 된 것이다. 정부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완공을 위해 2조 3332억 원을 투입했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김해 진영을 분기점으로 부산 기장까지 48.8㎞를 연결하는 왕복 4차선 도로다. 시속 100㎞ 기준으로 29분이면 양 지역에 닿을 수 있다. 교통정체 등으로 최대 두 시간 이상 걸렸던 지역을 바로 옆 동네처럼 왕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새 고속도로는 남해, 중앙, 경부, 부산울산 등 4개 고속도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연결한다. 이를 통해 김해에서 울산, 창원에서 동부산 등 동남권 전역이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이어졌다. 지역간 이동거리도 획기적으로 단축됐다.
 
한국도로공사는 새 고속도로 개통으로 800만 명이 거주하는 경남, 부산, 울산 등 동남권의 교통혼잡이 해소되고, 교류가 비약적으로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물류비 절감 효과도 연간 173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외곽순환도로에는 진영, 대감, 노포, 기장 분기점 4곳과 진영, 한림, 광재, 김해가야, 금정, 기장철마 등 나들목 6개소, 진영·김해금관가야 등 휴게소 2곳이 들어섰다. 다만 한림 나들목은 올해 11월 개통예정이다. 김해도심과 가장 가까운 광재나들목의 경우 삼계동정수장과 불과 5분 거리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터널과 교량 곳곳에 가야를 상징하는 건국설화, 가야토기, 가야철기 등의 디자인을 배치해 가야 문화를 알리고 상징하는 랜드마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김해와 부산을 잇는 낙동대교는 가야문화의 상징인 활을 형상화한 곡선형 주탑 형식으로 설계돼 지역의 특성을 반영했다.
 
한국도로공사 조규성 창원김해건설사업단장은 "설계와 공사 단계에서 김해의 상징인 가야의 역사와 문화가 고속도로 곳곳에 부각될 수 있도록 많은 고려를 했다"며 "동남권 주민 뿐 아니라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국민들이 가야의 우수한 문화에 대해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요소로 다가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부산순환외곽고속도로 개통은 김해를 동남권 물류 중심지로 도약시킬 뿐 아니라 김해가 자랑하는 가야역사, 다문화 등 다양한 관광자원을 부산, 울산 시민들이 부담 없이 즐기는 통로로 활용하게 할 전망이다. 반대로 김해, 창원 시민들은 동부산, 울산, 경주 등 동해안 인근의 풍부한 관광자원에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이유로 고속도로 개통 초읽기에 들어간 1월부터 새 고속도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고조됐다. 지역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일찍 개통되면 좋겠다는 의견이 올라오기도 했다.
 
한편 고속도로 전체구간 중 65% 이상을 지나는 김해, 양산은 부산만 들어간 도로명을 여전히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해, 부산, 양산, 기장 등 해당 지자체들이 도로명 논란에 따른 갈등을 어떻게 봉합할지는 향후 과제로 남겨 놓고 있다. 

김해뉴스 /심재훈 기자 cyclo@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