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병열 김해의생명센터 연구기획팀장

어떤 일이든 주와 객이 있다. 일자리는 기업과 함께 따라오며 매출 증가에 비례해서 기업에서는 신규인력을 채용한다.
 
산업단지의 예를 통해 기업과 일자리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새로 형성된 산업단지 인근에 아파트, 식당, 상가, 학교, 병원이 들어선다. 지역주민 유입과 함께 문화예술이 형성된다. 결국 기업이 일자리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근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가장 중요한 기업유치와 이후 정착을 위해 부산시 등 다른 지자체 사례를 살펴보겠다.
 
부산시와 김해시의 일자리 상관 관계를 단편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김해의 아침 출근길과 퇴근길을 살펴보면 출근길에는 김해방향의 도로가 꽉 막히고, 퇴근길은 항상 부산방향이 막힌다.
 
개략적으로 생각해봐도 김해에 일자리가 많은 반면 부산은 주거와 교육환경이 좋다는 얘기다. 제조업 수는 부산시가 2016년 기준으로 대기업 64개, 중소기업 299개에 불과한데 김해시는 7500여 개로 중소기업이 있어 훨등히 많다.
 
10년 전만 해도 부산시에 제조기업이 더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가로 많은 기업들이 부산에서 김해로 이전해 왔다. 이제 이전기업들은 김해에서 정착해 인구 증가와 일자리를 견인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인과관계를 대입해 억지논리를 펴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부산은 전국에서도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도시가 됐고, 젊은이는 부족한 현실에 놓여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산은 이제 대한민국 제2의 광역시라는 위상도, 인천으로 내 줘야하는 상황에 처했다. 2016년 부산시 GRDP는 1인당 2355만원, 인천시는 2781만원이다. 참고로 지난해 12월 기준 인구는 서울시 985만 명(도시 성장률 2%), 2위 부산시 347만 명(도시 성장률 1.7%), 3위 인천시 294만 명(도시 성장률 3.8%), 경상남도 인구 346만 명(도시성장률은 0.5%)을 기록했다. 
 
그렇다면 인천시는 지난 5년간 무엇을 준비했길래, 제2의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을까? 해안, 공항, 대도시 인근 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김해시와 공유하는 인천시가 최근 진행한 사업을 분석하고, 성공사례를 찾아 실천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찾아보니, 첨단 바이오기업과 해외·수도권의 대학 유치, 첨단센서 물류거점 확보 등 친기업정책을 펼쳤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유치를 할 수 있는 어떤 제도와 기반, 사회적 합의가 있었기에 모두가 부러워하는 미래첨단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할 수 있었을까하는 의문은 좀처럼 풀리지 않는다.
 
아마도 기업에 유리한 50년 임대료 감면, 인천시 기업조례와 규정, 외국인 투자촉진법(외국인 기술협약시 취득법인세 감면) 등 기업에 실질적인 혜택이 가도록 시와 유관기관의 지원정책과 경제자유구역 유치가 만들어 낸 결과물들로 판단된다.
 
인천은 경제자유구역 선정으로 다국적기업 지역본부를 유치하고 벤처캐피탈·금융클러스터를 구축했다. 비즈니스 서비스산업을 활성화했을 뿐 아니라공기업을 유치했으며, 유망산업으로 비즈니스금융, 물류유통, 첨단산업IT, 의료바이오, 교육, 관광문화산업을 강조했다. 
 
기업 현황을 보더라도, 요즘 핫한 바이오기업체들이 대부분 인천에 있다. 글로벌 바이오기업인 머크,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GE헬스케어, 올림푸스, 배터(VETTER), DM바이오, 아이센스, KD코퍼레이션, 이원의료재단, 유타인하 DDS연구소 등 다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이렇다 보니 인천시 송도동은 15년 만에 갯벌에서 바이오헬스케어 생태계를 완성하고, 인구가 2013년 7만에서 2016년 11만명으로 60% 늘었다. 이를 보더라도 '기업'이 일자리 만들기의 핵심임을 알 수 있다. 이제는 정부도 국가균형발전법의 지역특화산업 육성정책에서 인천을 제외할 만큼 여건이 성숙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부산과 인천 두 도시를 비교한 결과, 친기업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이제 기존 기업체를 정착시키면서도 미래산업분야 기업 유치를 위한 민·관·학 차원의 노력이 시작되야 한다. 힘들고 어려운 일이지만 친기업정책을 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기업이 김해를 찾게 하는 친기업정책이 무엇인지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다. 김해뉴스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