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을 볼 때 눈동자가 정면을 본다는 것부터 의학적으로 설명을 하면 원거리, 약 6m 이상에 있는 한 물체를 본다고 할 때 오른눈과 왼눈의 시축이 평행하고, 눈의 필름 역할인 망막의 중심인 중심오목에 같은 물체의 상이 맺힌 상태이다.  좀 더 쉽게 말하면 6㎝ 정도 거리를 둔 카메라 2개가 멀리 있는 물체에 대하여 같은 사진을 찍게 되는 경우가 사시가 없는 상태, 즉 '정위' 라고 하게 된다. 이러한 정위가 아닌 경우를 모두 사시라고 한다.
 
앞서 원거리, 멀리있는 물체 라고 얘기한 이유는 우리 눈은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볼 때는 정상적으로 눈이 안으로 모이는 '눈 모음'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시는 눈이 정면을 볼 때 반대쪽 눈이 평행하게 같은 곳이 아닌 다른 곳을 보는 증상을 총칭하는 질병명이다. 그리고 원인이나 기전에 따라 여러가지 사시가 있다. 다른 곳을 보는 눈의 위치에 따라 안쪽으로 몰리는 내사시, 바깥으로 나가는 외사시, 위 또는 아래로 올라가는 상사시와 하사시로 구분할 수 있다.
 
눈이 모이는 내사시는 영아기에 생기는 영아내사시, 원시로 인해 조절이 과해지면서 생기는 조절내사시 등이 있다. 그리고 한쪽 눈이 밖으로 나가는 외사시로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에 흔한 간헐외사시가 있다.
 
영아내사시는 영아기, 보통 생후 6개월 이내 발생하는 큰 각도의 내사시인데 일찍(만 2세 전후) 교정해주지 않으면 사시가 자주 보이는 눈의 시력이 발달하지 않는 사시약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조절내사시는 원시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이 중 심한 고도원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 만 6세 이후까지 안경 교정 없이 방치하게 되면 시력발달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시력이 떨어진다기 보다는 어린 나이에 심한 사시가 있고 치료가 안된 채 방치되면 시력발달이 잘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 좀 더 정확하다.
 
반면에 간헐외사시는 외사시가 생기는 빈도가 거의 없는 경우부터, 항상 보이는 정도까지 다양하다. 빈도가 낮은, 일상생활에서 거의 외사시가 생기지 않는 간헐외사시는 시력 발달에는 큰 장애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시력발달 외에 입체시 등의 양안시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시에 대한 교정이 필요하다.
 
일단 내사시의 경우 안으로 눈이 몰리는 증상, 외사시의 경우 눈이 밖으로 나가는 증상은 쉽게 사시로 느끼고 병원에 오는 경우가 많다. 내사시의 경우는 사진을 찍었을 때 한쪽 눈의 검은동자 절반 정도가 눈 안으로 쏙 들어간 경우에는 몰려 보이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몰려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과검진을 꼭 받아보길 권유한다.
 
외사시의 증상은 한쪽 눈은 정면을 보는데 반대쪽 눈이 바깥쪽, 귀쪽을 보는 경우이다. 외사시는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간헐외사시가 많고, 동양인들의 얼굴 모양 특성상 미간이 넓어 각도가 작은 경우 표시가 명확하게 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잘 못느끼는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간헐외사시는 힘들 때 빈도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졸릴 때나 아침에 막 일어났을 때, 몸이 아플 때, 피곤할 때, 울 때, TV 볼 때처럼 멀리 멍하게 볼 때 눈이 밖으로 나가는 증상이 흔히 나타난다. 그래서 '뭔가 아이 눈의 초점이 잘 안맞는다'라는 생각이 들면 아이가 피곤해 할 때 아이 눈을 좀 더 관심있게 보면 한 쪽 눈이 바깥으로 나가는 현상이 보일 수 있다. 
 
또 눈동자 모양이 어긋나는 것 외에도 간헐외사시 환자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햇빛 아래에서 한쪽 눈만 찡그리는 증상이다. 보통은 햇빛이 눈부실 경우 양 눈을 찌푸리는데, 윙크하듯이 한눈만 찡그리는 아이는 꼭 안과 검진을 권유한다. 집에서 근거리에서 아이들을 주로 보시는 부모님들 보다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에서 아이들을 멀리서 보는 선생님들이 먼저 발견하는 경우도 있다. 눈 모양이 어색하다 싶으면 아이의 선생님에게 물어보면 아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머리를 항상 한쪽으로 기울이고 다니거나, 고개를 한쪽 방향으로 돌리고 다니는 아이들의 경우 일부에서 사시에 의하여 고개 돌림, 고개 기울임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안과 검진을 받아보기 바란다. 김해뉴스 /김사강 수정안과 진료원장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