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구성원들 참여·협력 필요
공동체 형성의 토대 증명 사례



다양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전국 방방곡곡에서 펼쳐지고 있지만 '공동체'가 온전히 뿌리내렸다는 소식은 그리 흔치 않다. 관 주도로 진행되면서 마을 주민들은 주체가 되지 못했다. 자발성과 자율성이 결여된 채 짜인 공모사업 위주로 진행된 마을만들기 사업은 땅값 상승을 야기했고, 정작 마을 주민들은 마을을 떠나는 모순을 빚어냈다. 파편화된 사회에서 마을공동체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뜨거운 지금, 과연 해법은 없는 것일까. 새마을운동의 현대 버전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있을까.

농부, 사업가, 공무원이었던 <우리는 마을에 산다> 저자들. 2011년 아이들의 왕따, 가출, 일진 학생들의 놀이터 점령 등을 접한 뒤 전문가를 만나 문제해결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위기의 아이들을 진정으로 돕기 위해선 '아이들을 보살필 공간과 프로그램, 그리고 마을 사람들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각자의 터전에 공부방, 청소년 쉼터, 작은 도서관을 각각 만들어 매주 놀이마당 등을 펼치면서 아이들과 부모, 마을 사람을 잇는 계기를 마련한 이들. 일련의 과정에서 이들은 마을에 사람들이 어울리며 소통할 수 있는 '세대별 공간'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공동체가 붕괴되고 삶이 파편화되면서 공동체에 대한 욕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지금 집중해야 할 것은 마을주민 중심의 세대별 마을 공간이 보다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은 그동안 경험한 사례를 묶어 <우리는 마을에 산다>을 발간했다.

책은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살고 있는 아파트에서 동대표를 맡아 단지 내 작은 도서관을 만들고 생태나들이, 아파트옥상 별보기 등을 펼치며 새로운 공간을 고민하고(김수동), 주민들의 단결을 바탕으로 마을공동체센터 부지를 얻어내고 청소년 쉼터 등 보살핌을 위한 다양한 마을공동체 활동을 통해 대안을 찾아 나간다(신동명).

이들의 사례는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을 돌아보게 한다. 책에는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세대별 마을공간 만들기'와 관련한 정책 제안, 아파트 평수에 따라 세대별 마을공간이 달라짐을 보여주는 실례도 실렸다.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한 관심을 가진 마을 주민들이 직접 나서 만든 다양한 공간들이 공동체의 견고한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들은 우리 스스로 마을 만들기를 해낼 수 있음을 알려주기 충분하다.

부산일보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