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규모의 하천형 습지인 김해 화포천 습지 전경. 김해시는 화포천습지를 ‘생태관광 1번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기반시설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습지 보존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사진제공=김해시


국가습지보호지역 지정 1년
폐기물·쓰레기 유입 여전
공장·축사 등 난립 규제 필요



''김해 생태계의 허파' 화포천습지의 위상, 시민들이 드높인다.'
 
한림면에 위치한 화포천습지가 환경부로부터 국가습지보호지역·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된 지 1년이 지났다. 한 때 '쓰레기 천국'으로 불렸던 화포천이 제 모습을 되찾은 것은 주민과 환경단체의 노력이 뒷받침된 결과다. 환경단체들은 화포천을 살린 것은 결국 사람이라며 무엇보다도 습지 보존에 대한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화포천습지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하천형 습지로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여과장치의 역할을 맡고 있다. 2000년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한림면에 공장과 축사가 밀집되면서 오·폐수, 생활쓰레기가 유입돼 골머리를 앓기도 했다. 김해시는 2007년 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추진했으나 침수 피해, 지가 하락이 우려된다는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하지만 주민과 환경단체의 정화활동,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주도한 친환경 농법 도입 등 여러 노력이 더해져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여전히 한림면에 공장과 기업형 축사가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어 김해시의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김해시에 따르면 1월 기준 한림면에 위치한 제조업체 수는 1429개로 지역 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김해 축사 수도 전체 1104개 중 한림면에 434개가 편중돼 있다.
 
자생환경단체 '에코한림'의 송기철 고문은 “화포천 유역 인근에 공장과 축사가 많이 생기고 있다. 습지 지정을 반대하던 주민들의 인식은 많이 좋아졌지만 지주들과 축산업을 하고 있는 일부 사람들의 시선은 마냥 곱지만은 않다. 환경 규제로 인한 재산권에 피해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 공간을 만들려면 무분별한 공장 난립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화포천 습지로 향하는 13곳의 지천에서 각종 생활쓰레기가 유입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11년째 환경정화활동을 펼치고 있는 '화포천환경지킴이' 황찬선 회장은 "매달 한 번씩 청소할 때마다 최대 200포대의 쓰레기가 수거된다. 화포천이 더 깨끗한 환경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민·관·기업체가 협력해 폐기물 배출을 줄이고 지속적인 환경정화 활동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황 회장은 "지난해 12월 야생황새 4마리가 선물처럼 찾아왔다. 쓰레기 천국이었던 습지에 멸종위기 보호동물이 찾아오는 것은 지역주민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화포천습지는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공간이며 앞으로 시민들이 지켜야 할 소중한 생태자원"이라고 강조했다.
 
에코한림 정진식 단장은 "습지의 생태가 서서히 복원되고 있는 시점에 시민들의 관심이 더해진다면 '생태관광 1번지' 조성에 활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해뉴스 배미진 기자 bmj@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