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의 김해는 어떤 모습일까?'

김해시는 토지이용, 주택, 교통, 공원·녹지 등 부문별 계획을 담은 '2035년 김해도시기본계획(안)'을 최근 발표했다. 도시기본계획이란 김해의 장기비전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법정 최상위 계획이다. <김해뉴스>는 김해도시기본계획안을 토대로 시민들의 미래 생활환경을 그려봤다.


 

 

장기비전 계획 담은 6대 목표
산업·교통·교육 등 부문별 전략

권역별 문화자원 활용, 특화 도시로
생활 속 공원녹지 휴양서비스 구축

환경단체 “수요 없는 과잉공급” 우려
개별공장 불허 특별조례 제정 등
난개발 정비 기본방향 제시 요구




■김해 인구 71만 도시로 도약
시는 미래상을 '가야건국 2000년, 세계도시 김해'로 설정하고 토지·교통·환경·문화·안전 등 각 부문별 정비계획을 세웠다.
 
현재 김해시는 1개읍·6개면·12개 행정동으로 구성돼 도·농 복합도시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인구는 2006년 46만 1925명에서 2018년 55만 2170명으로 증가했다.
 
금관가야의 옛 수도였던 김해는 2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가야역사문화의 중심지다. 또 7000여 개의 중소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시이기도 하다. 또 창원, 부산, 밀양과 밀접해 있어 접근성이 좋은 점은 김해만의 강점이다. 하지만 구도심과 신도시간 지역 불균형이 심하고 개발가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점, 주변지역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점은 약점 요인으로 꼽힌다.
 
시는 2035년 목표인구를 71만 명으로 예측했다. 출산율과 연령별 구조, 산단 개발, 외국인 증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설정한 것이다.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핵심과제로 △사람중심의 맞춤형 정비계획 수립 △광역교통시설과 연계하는 교통물류 인프라 구축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미래산업도시 구현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친환경 세이프-에코 시티 조성 △가야역사문화를 토대로 하는 관광 인프라 구축 △맞춤형 복지의료 서비스 체계 구축 및 명품교육 도시 조성을 6대 목표로 삼고 추진 전략을 세웠다.
 

▲ 2035년의 김해의 도심지는 중부권(동지역·주촌)이 될 전망이다. 김해시는 이 지역을 ‘역사문화 및 첨단복합의 중심’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사진은 내동에 위치한 김해 연지공원 전경.



■동지역(김해시내)·주촌 중심, 도심 개발
2035년의 도시공간구조는 1도심(동지역·주촌), 2부도심(장유·진영), 3지구중심(진례·한림·대동), 2근린중심(생림·상동)으로 설정했다. 도시개발은 도심과 부도심을 주축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지역의 생활권은 중부(동지역·주촌), 남부(장유 1·2·3동), 서부(진영·한림·진례), 동부(생림·상동·대동)로 나눠진다.
 
중부권은 '역사문화 및 첨단복합의 중심'으로 발돋움한다. 가야역사문화 자원을 발굴·개발하고 개발제한구역(GB)을 활용해 첨단복합도시를 조성한다.
 
남부권은 '주거와 교육의 중심'이 된다. 젊은 인구가 밀집된 장유지역에 주민들이 편하게 생활할 수 있는 인프라체계를 구축하고 고품격 교육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서부권은 '관광 및 산업의 중심'으로 구현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가 있는 진영 봉하마을 활용해 관광벨트를 만들고 산업 직접화를 통한 산업밸리를 구축한다.
 
동부권은 '휴양 및 신주거의 중심'으로 재편된다. 산악자원을 활용해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광역인프라와 연계해 배후도시를 조성한다.
 

▲ 도시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주촌선천지구 전경.



■경전철 장유 율하까지 연장
난개발 도시의 오명을 씻기 위해 개발불능지 기준을 강화한다. 하지만 별도의 예외기준을 명시해 개발의 여지는 남겨뒀다. 산단을 포함한 계획개발지에 대한 표고는 당초 200m에서 150m로, 경사도는 25도에서 18도로 변경됐다.
 
고속도로는 국토교통부의 정책을 반영함과 동시에 원활한 소통망을 고려해 생림~한림간 도로를 신설한다. 생활권별 소통을 위해 삼방동 배후도로, 생림~한림간 강변순환도로 등을 조성하고 부산김해경전철도 봉황역에서 칠산서부동~장유 율하까지 연장한다는 계획이다.
 
원도심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지속적인 추진과 안동공단의 기존 공장을 점진적으로 이전해 단계적 개발을 유도한다.
 
시는 시민들의 생활 속에 스며드는 공원녹지휴양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공원녹지를 조성한다. 표고 150m 이상 지역에 보전녹지축을 설정해 개발을 억제한다. 1인당 공원녹지면적도 현재 10.7㎡에서 2035년에는 15㎡로 늘린다.
 
이외에도 개발과 보전이 조화된 친환경 생태도시를 만들기 위해 △생물 다양성 보존 및 관리 강화 △자연 생태축과 도심 녹지축 연결 △악취 문제 지속적 해결 △소음 진동 관리체계 개선 등을 계획했다.
 

▲ 진영 봉하마을이 위치한 서부권은 관광 및 산업의 중심지로 조성된다.



■"지속가능한 친환경 삶 보장돼야"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이하 환경연)은 "외적 성장보다 지속가능한 삶이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삶이 김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믿게 하려면 환경도시로서 전향적 도시기본계획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연은 "최근 5년간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으나 상승폭은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 제조업 경기도 매우 침체됐다. 시는 주택공급과 산단 조성으로 청사진을 제시했으나 수요 없는 과잉 공급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환경연은 "김해는 산골짜기와 주택가를 파고든 산단 난립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환경적으로 안전한 시민의 삶을 도시계획의 중점에 둬야 한다"며 "김해의 도시현황을 보면 표고 150m 이하가 차지하는 면적은 70.2%나 되고 경사도 18도 이하 면적이 75.3%를 차지한다. 김해도시계획조례의 공장입지 산지경사도 11도 제한과 동일하게 개발불능지의 고도기준을 11도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개별공장은 더 이상 들어서지 못하도록 개별공장 불허 특별조례를 제정하고, 난개발된 개별공장의 산단 이주대책을 포함한 난개발 정비 기본방향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시는 지난 2일까지 시민들을 대상으로 '2035년 김해도시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제출받았다. 향후 시의회 의견청취와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경남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9월에 최종 도시기본계획을 승인 받을 계획이다. 

배미진 기자 bmj@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