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미세먼지 마스크 KF99' 60개를 대량 구매했다. 일회용 마스크 1장당 1000원꼴이라 망설였지만, 그렇게라도 구매를 한 것은 '행운'이었다. 며칠 뒤 미세먼지 마스크는 줄줄이 품절됐다. 지인 역시 만 1세 자녀의 마스크를 사러 약국에 갔지만, 유아용 마스크가 동이 나 마스크 없이 외출을 했다며 걱정했다.

최근 WHO는 '2019년 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10대 요인'의 첫 번째를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꼽았다. 사실 대기오염 등이 당뇨, 암, 에이즈 등을 뒤로하고, 가장 큰 건강 위협 요소가 된 것에 대해 조금 이른 예측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나 지난달 말에서 이달 초까지 약 일주일간 이어진 '미세먼지 감옥' 속에서, 대기오염이 먼 미래의 위협이 아니라 현재 당면한 일이라는 것을 절절히 실감했다.

미세먼지 공포가 엄습하면서 정부는 연일 미세먼지 대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달 15일부터는 '미세먼지 특별법'이 시행됐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비상조감조치가 발동되면 공공기관 차량 2부제를 운영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가동시간 변경과 가동률 조정, 배출가스 5등급 경유차량 운행 제한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또 지자체장은 학교 등의 휴업, 수업시간 단축 등 권고할 수 있다.

미세먼지 특별법은 지난해 8월 공포되고 시행까지 반년간의 준비기간이 있었지만 중앙정부와 수도권, 지방자치단체 간 격차가 크다. 실제로 최근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발동했을 당시 김해시 등에서는 공공기관 차량 2부제 등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당시 특별법에 따른 조례가 제정되지 않아(3월 14일 경상남도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 통과) 차량 2부제 등에 대한 제재 근거와 기준 등이 없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대책뿐 아니라 대기 현황을 파악하는 데도 한참 뒤진 상황이다. 현재 서울의 대기오염 측정소는 56개소지만 김해 측정소는 3곳뿐(1개소 추가 설치 예정)이다. 서울 측정소 1곳당 관할 면적이 20㎢ 이하인데 반해 김해는 154㎢를 감당하고 있다. 턱없이 부족한 측정소로 주민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별 정확한 미세먼지 수치를 알기는 어렵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8일 성명서를 내고 "경남의 미세먼지 대책이 시민의 위기감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며 실질적인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입장은 비단 환경단체만의 입장이 아니다. 따뜻한 봄이 도래했지만 시민들은 봄철 편서풍으로 닥칠 황사, 미세먼지 등에 벌써부터 걱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는 태풍, 홍수, 지진 등 눈에 보이는 재난보다 더 큰 위협이 일상에 다가왔다. 안전한 김해를 위해서는 교육청의 미세먼지 정책 등과의 연계를 통해 관련 정보와 정책 등을 일원화하고 장기적인 계획과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세워야 한다. 아동 인구가 많은 김해는 미세먼지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의 건강을 지켜, 더 건강한 김해로 나아갈 수 있게 되길 바란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