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30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했다.

지난달 18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이번에는 동결한 것이다. 금리인하 효과를 당분간 지켜보자는 의견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이날 회의에선 7명의 금통위원 중 조동철·신인석 위원이 0.25%포인트(p) 인하 소수의견을 냈지만, 이주열 총재를 비롯한 5명은 동결 쪽에 섰다.

두 차례 연속 금리를 내리기는 부담스러운 만큼 '일단 동결'을 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금융위기 시절인 2008년 10월∼2009년 2월 이후 연속 금리인하는 없었다.

지난달 금리인하는 시장의 예상(8월 인하)보다 한발 앞선 조치로 여겨졌다. 선제적으로 내린 만큼, 일단 현재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의 결정에 중요한 고려 요소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하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관측도 동결 배경으로 꼽힌다.

시장에서도 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4∼20일 96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에서 동결 예상 응답이 78%였다.

이르면 10월 16일로 예정된 다음 회의에선 한은이 금리를 다시 내릴 것이라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경제성장률 하락과 낮은 물가 상승률 등이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직접적 요인이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2%로 낮췄다. 물가 상승률은 7개월째 0%대다.

이주열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전망을 수치로 수정할 상황은 아직 아니나, 여러 가지 우리 경제의 성장률 달성을 어렵게 하는 대외 리스크가 커진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물가 상승률에 대해선 "두세 달 정도는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내년 초에는 1%대를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성장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다"며 "물가 상승률은 7월 전망 경로에 비해 하방위험이 높아졌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같은 저성장·저물가 현상이 심해져 '디플레이션' 진입 우려가 커지면 한은은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요구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최근의 급격한 물가 하락은 공급 측 요인과 기저효과가 크기 때문에 디플레까지 아직 우려하진 않아도 되겠다"고 선을 그었다.


김해뉴스 디지털미디어팀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