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의 민족’의 ‘오픈 서비스’에 반발한 김해소상공인들이 김해만의 공공배달앱 ‘배달의 왕도’를 만들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김해 부원동의 한 사거리에 배달오토바이가 줄 지어 서 있는 모습. 이현동 기자

 배달수수료 논란 후 여진 계속
 김해 자영업자, 공공배달앱 요구
"지역경제 살려 달라" 호소 늘어
 시, "자체 배달앱 개발 검토 중"



업계 최대 규모의 점유율 1위 배달 애플리케이션인 '배달의 민족'(이하 배민)이 '오픈서비스', 즉 수수료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각 지자체가 공공배달앱 개발에 나서고 있다. 배달의 민족의 수수료 인상 발표 후 김해지역 소상공인들 역시 크게 반발하며 김해시에 김해만의 특화 배달앱을 개발해 운영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배달의 민족은 현재 배달앱 시장 점유율의 99.9%를 확보하고 있다. 사실상 '독점' 상태인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배민 측은 최근 새로운 요금체계인 오픈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기존 정액제이던 수수료 체계가 정률제로 바뀐다는 부분이다.
 
정액제는 월 8만 8000원의 광고료를 내면 가까운 지역의 점포를 모바일에 우선 노출해주는 '울트라콜' 중심의 요금제이고, 정률제는 앱을 통해 올린 매출의 5.8%를 배민이 수수료로 가져가는 방식이다.
 
배민 측은 수수료 체계를 이렇게 변경할 경우 광고비 지출이 적은 영세사업자 53%가 혜택을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배민의 주장과는 달리 수수료 감소 혜택을 보는 경우는 일부고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이 엄청난 폭의 수수료 인상을 감내해야 한다는 반박이 나왔다. 퍼센트 단위로 수수료를 떼어가는 만큼 매출 규모가 클수록 수수료도 당연히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매출 규모와 관계없이 소상공인들의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배달 주문이 크게 늘어나기 시작한 시점에 이 같은 발표를 한 것도 큰 반발을 샀다.
 
결국 배민은 지난 10일 공식 사과문을 내고 오픈서비스 체계를 전면 백지화 한다고 밝혔다. 각 지자체에서 공공배달앱 개발을 잇따라 추진하고 소비자들의 불매운동까지 확산되자 결국 입장을 바꾼 것이다.
 
하지만 소상공인들의 '역습'은 아직 끝나지 않은 모양새다. 배민 측이 오픈 서비스를 백지화 하며 한 수를 접긴 했으나 시장 독과점 상태가 끝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이번과 같은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상공인들은 배달업계의 행보와는 무관하게 김해만의 배달앱을 만들어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야왕도 김해'라는 브랜드 명을 본 딴 '배달의 왕도'라는 이름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해의 한 자영업자 A 씨는 "코로나19로 사회 모든 분야, 계층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런데도 배달앱 측은 자신들의 배를 불릴 궁리만 하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은 하루 매출에 따라 천당과 지옥을 오간다. 시민들이 고통 받지 않게 김해시에서 나서줬으면 좋겠다.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어방동의 한 음식점 업주 B 씨 역시 "전북 군산시에서는 이미 공공배달앱을 개발해 운영 중이고 경기도도 검토 중이다. 김해는 경상남도에서 가장 큰 편에 속하는 대도시인데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제로페이, 김해사랑상품권 등과 연계해 운영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해시 지역경제과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배달 형식의 소비문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김해시도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다"며 "공공배달앱 관련 시책도 검토 중에 있다. 군산시의 모델을 참고해 김해 자체 지역배달앱을 만들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 다만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군산시가 운영 중인 '배달의 명수'는 지난달 13일 출시됐으며 이미 5만 명이 넘는 군산시민이 가입했다. 전체 27만여 명 중 약 20%가 이 앱을 활용하는 셈이다. 수수료와 광고료가 전혀 없어 소상공인들에게 큰 환영을 받고 있다.
 
김해뉴스 이현동 기자 hdlee@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