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컨택트'(Uncontact)는 비접촉, 비대면으로 사람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촉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언컨택트는 2020년 코로나19로 촉발된 새로운 삶의 방식이다.
 
트렌드 분석가인 저자는 <언컨택트>에서 언컨택트는 단순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아니라고 말한다. 오랜 시간 우리 사회가 발전시켜온 욕망의 산물이자, 새로운 시대를 읽는 가장 중요한 진화 코드로 본다. 언컨택트는 소비의 방식만 바꾸는 게 아니라 기업의 일하는 방식도, 종교와 정치, 연애를 비롯한 우리의 의식주와 사회적 관계, 공동체까지도 바꾸고 있다.
 
저자는 언컨택트 현상을 유통과 소비 분야에만 머무르지 않고 범위를 더 확장해 주목한다. 일상, 비즈니스, 공동체에서의 언컨택트 등 총 3부로 나눠 앞으로 우리 삶에서 맞닥뜨리게 될 언컨택트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인 사례와 자료를 들어 소개한다.
 
'언컨택트'에는 '불편한 소통'보다 '편리한 단절'을 꿈꾸는 현대인의 욕망이 투영돼 있다. 현대인들은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 센서 기술 등의 진화로 사람과 사물 등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초연결시대'에 살고 있다. 실시간으로 연결돼 끊임없이 데이터를 쏟아내고 소설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더 긴밀하게 연결되고 있다. 우린 연결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를 살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초연결시대에 단절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저자는 책의 끝부분에서 언컨택트가 우리에게 양극화와 디스토피아의 고민을 던진다고 말한다. 저자는 "새로운 차별과 위험성을 내포한 언컨택트 사회에 대해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산일보 김상훈 기자 neato@busan.com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