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 회의 심야 소집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가 심야에 긴급 소집됐다. 청와대가 군사 위협까지 불사하는 북한의 태도 변화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장면이다. 

청와대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회의를 연 것은 14일 0시를 조금 넘긴 시각이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철거와 군사행동에 나설 것을 시사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발언이 나온 지 불과 3시간여만이다. 

청와대는 최근 문재인 대통령 등 우리 정부를 원색적으로 비난한 김 부부장의 언사에 직접 대응을 삼가며 거리를 둬왔다.

그런 청와대의 태도가 바뀐 것은 남북 군사합의를 파기하겠다고 공언한 김 부부장의 위협적 언사를 그대로 두고 볼 수만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NSC 회의에서는 일단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분석하기 위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청와대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해제 등의 요구를 관철하고자 미국을 향한 압박 수위를 높였을 가능성을 주시하는 모양새다. 동시에 북한이 실제 공언한대로 군사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닫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나 청와대나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북한이 군사 행동에 옮기는 경우다. 국지적으로라도 무력 도발을 일으킨다면 남북 군사합의는 물거품이 되고 북미 사이에서 해온 비핵화 중재자·촉진자 역할도 효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특히 남북관계 개선이 현 정부의 일관된 기조이자 최대 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북한에 인내하면서 잘해준 결과가 이것이냐'는 여론을 피하기도 어렵다.

북한의 폭압적 태도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분출하면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여당의 총선 압승을 견인함으로써 다져놓은 안정적인 임기말 국정 기반도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감지된다.

북한의 이런 태도에도 청와대에서는 대화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현 정권 초반 거의 매일같이 무력시위를 했던 때도 있었다"며 "시간이 걸리겠지만 다시 대화를 시작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통일부가 이날 "남북은 모든 합의를 준수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제 시선은 문 대통령의 입으로 쏠린다. 청와대는 평양 옥류관 주방장의 '거친 입'까지 동원한 북한의 원색적 비난전에도 일절 대응을 하지 않았다.전날 북한 장금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장이 "남조선 당국에 대한 신뢰가 산산조각이 났다"고 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청와대가 NSC 회의까지 열어 북한 문제를 논한 만큼 향후 문 대통령의 언급이 있을지 주목된다.

김해뉴스 디지털미디어팀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