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곡옥 세부).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예고
대성동·양동리 고분 출토 목걸이 3점
금관가야지역 유물 보물 인정은 처음

김해 대성동과 양동리 고분에서 출토된 가야시대 목걸이 3점이 보물로 지정된다. 금관가야지역 유물이 보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가야 목걸이 3점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이 끝나면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고 7일 밝혔다.

▲ 김해 대성동 76호분 목걸이 발굴 장면.

이번에 보물 지정이 예고된 장신구는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이다. 

출토지가 명확하고 보존상태가 좋으며 형태도 완전해 역사·학술·예술적 가치를 지닌 보물로서 인정받은 것이다.

▲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히 조형적 완결성과 정교한 세공기술로 3~4세기 금관가야의 세련된 문화적 수준을 엿 볼 수 있으며, 철의 왕국으로 알려진 가야가 다양한 유리제품 가공 능력도 뛰어났음을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는 김해 대성동고분군에서 2011년 발굴된 유물이다. 맑고 투명한 수정과 주황색 마노, 파란색 유리 등 다양한 재질과 색감을 조화롭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총 2473점의 구슬로 구성된 목걸이로 그 동안 금관가야 유적에서 출토된 목걸이 중 가장 많은 수량이라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에 해당된다. 이를 통해 목걸이를 착용한 주인공의 신분적 위상과 권위를 엿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와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각각 1992년과 1994년 동의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하면서 발견한 유물이다. 수정목걸이의 수정은 양산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이 목걸이처럼 수정의 형태와 색채가 다양하고 크기도 크며 146점의 많은 수량이 출토된 경우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보석 총 574점으로 구성된 목걸이이다. 특히 수정제 곡옥 147점이 일괄로 다량 출토된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이들 가야 목걸이 3점은 각각 개별 유적에서 일괄로 발견됐고, 금관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목걸이 중 많은 수량의 구슬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희귀한 사례이다. 더욱이 가야인들이 신분 위상과 지배계층의 권위를 장신구를 통해 드러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중요하다. 또 금·은 제품을 주로 다룬 신라, 백제인들과 달리 수정이나 유리구슬로 화려함을 선호한 가야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이라는 점에서 보존가치가 높다. 

한편 문화재청은 2018년도부터 지방자치단체와 국립박물관에서 신청한 소장품들 중 출토지가 명확하고 가야문화권의 특징이 반영된 유물에 대해 문화재 지정이 가능한지에 대한 조사를 해오고 있다.

그동안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금동관, 부산 복천동고분군의 철제 갑옷, 청동칠두령, 도기 거북장식 토기 등과 합천 옥전고분군의 금귀걸이, 고리자루 큰 칼, 함안 마갑총의 말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 등이 보물로 지정됐다. 

김해뉴스 이경민 기자 min@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