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동마을에 위치한 양동지의 모습. 못 둑을 다질 때 불렀던 마을 주민들의 노동요가 들리는 듯 하다. 박정훈 객원기자 punglyu@hanmail.net

임진왜란 때 노래·풍악 울려퍼져 마을에 침입했던 왜병 놀라 도망
양동리와 내삼리 경계 양동산성 가야시대 때 쌓은 것으로 추정
백일홍 두 그루 당산나무로 모셔
농업용수 대던 양동지도 호젓

주촌면으로 통하는 입구를 지나 길을 따라 계속 들어가면, 공장과 그곳을 드나드는 커다란 트럭으로 번잡한 지역을 벗어난 비교적 한적한 마을이 나타난다. 이곳이 바로 주촌면에 위치한 양동마을이다.
 
양동리의 본마을인 양동마을을 포함한 이 일대를 조선시대에는 '노래실'이라고 불렸다. 임진왜란 때 왜병들이 나타나자 사람도 없는데 노래와 풍악이 울려 그들을 달아나게 했다는 전설도 전해지는 곳이다.
 
양동이라는 명칭은 어질 양(良) 마을 동(洞)이라고 해서 어진마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노래실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 철종 때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 고고학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양동산성의 모습.
양동마을에는 양동리와 내삼리의 경계가 되는 산봉우리에 위치한 양동산성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 주민들은 이 산을 범바위등이라고도 하는데, 마을에서 봤을 때 왼쪽에 자리한 산이 매봉산, 양동산성이 있는 산이 황새봉이다.
 
마을 주민들은 아주 오랜 옛날 천지개벽으로 물이 가득 찼을 때 그 산 봉우리에 매가 앉았던 자리, 황새가 앉았던 자리, 범이 앉았던 자리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 역시 산 이름에 얽힌 재미있는 전설이다.
 
양동산성은 산봉우리를 두르고 있다. 이곳으로 가는 길은 잘 닦여져 있다. 주변에 빽빽이 들어찬 나무들을 보며 걷는 길은 저절로 건강해질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전문가들은 양동산성을 가야시대에 처음 쌓은 후 계속해서 수리해 사용해 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토목기술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 자료가 되기도 한다.
 
"어렸을 적에 양동산성이 있는 저 산에 많이 올랐습니다. 돌이 정말 많았죠. 봄이 되면 나물을 캐러 오기도 하고, 다른 지역 사람들도 와서 놀다가던 곳이기도 했습니다." 양동마을 정광조 이장이 말했다.
 
양동산성을 보면 한쪽은 복원사업을 해서 산성의 모습을 갖추고 있고 한쪽은 뾰족한 돌 그대로 쌓여 있는데, 누가 쌓았는지 모를 돌무더기들이 눈에 띈다. 그저 돌무더기라고 하기엔 공들여 쌓은 흔적이 역력해 돌탑이라고 봐도 손색없을 정도이다. 산성 안쪽으로는 제법 넓직한 공간이 있다. 양동산성의 복원사업이 잘 정리돼 이곳이 관광명소가 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을 듯하다.
 
▲ 양동마을의 당산나무인 백일홍 두 그루.
지금도 당산제를 지낸다는 양동마을의 당산나무는 한 공장의 맞은편에 있는 조그마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마을들의 당산나무처럼 크고 오래된 나무가 아닌 백일홍 나무 두 그루가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나무 사이에 비석하나가 명태 한 마리를 몸에 감고 우직하니 서있다.
 
마을 회관에 모인 어르신들은 제각각 자신이 가진 옛 이야기를 늘어놓았다. "차가 마을로 조금씩 다니기 시작한 것이 40년 쯤 됐을까. 그 전에는 시장에 보리쌀 한말씩 이고 가서 팔고, 그걸로 먹을 것을 사서 아이들을 키웠지. 어떤 날은 하루에 두 번씩 장을 간 적도 있었어요. 많이 힘들었죠." 그 시대를 살아낸 여느 마을의 어르신들처럼, 양동마을의 어르신들도 젊은 시절 장유, 진례, 김해에서 서는 장에 가기 위해 먼 길을 걸어 다녔다.
 
옛 이야기 중에서도 마을에 자리 잡고 있는 커다란 양동지에 대한 이야기가 꽤 흥미로웠다. "어이영차, 딸꾸야~" 커다란 나무를 양쪽에서 잡아 당겨 못 둑을 단단하게 했던 그 때, 노동요로 불리던 노래를 어르신들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농업용수로 쓰이던 이 못은 농지가 점점 줄면서 공장용수로 쓰이는 등 그 기능이 달라지고 있다.
 
마을의 어르신들은 세월이 흘러 변한 마을의 모습에 대한 아쉬움도 함께 이야기했다. "옛날에는 공기 좋고, 물도 좋아 병도 없는 마을이라 했습니다. 그때에 비하면 많이 발전했지만 깨끗했던 마을의 모습이 지금도 남아있었다면 더 좋지 않았겠습니까."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