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계 이주여성의 고위험 출산율이 한국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위험 높고 준비기간 짧아
한국여성과 동일한 출산 지원
동일 언어권 돌봄 전담사 필요



국내 거주 아시아계 이주여성의 고위험 출산율이 높아 이들을 위한 별도의 산전·산후 지원책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인규 교수와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 이주여성의 고위험 출산율이 한국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임신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출생체중 2500g 미만의 저체중출생아, 임신기간 42주 이후의 과숙아 출산위험은 필리핀 여성이 각각 6.7%, 6.2%, 0.44%로 한국, 중국, 베트남 가운데 가장 높았다. 출생체중 4000g 이상의 거대아 출산위험은 중국 여성이 4.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아이 건강이 산모의 영양상태, 산전관리 등으로 좌우되는 만큼 고위험 신생아 출산위험이 크다는 것은 이주여성의 산전관리가 부실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즉 결혼 후 충분한 준비기간과 산전관리를 거치지 않고 임신과 출산을 하기 때문에 산전·산후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국내 거주 이주여성은 한국여성과 동일한 정부의 산전·산후 의료혜택을 지원받는다. 정부는 출산 전에는 신혼부부에 한해 보건소에서 기본건강검진과 엽산제·철분제와 같은 산모에게 필요한 필수 영양제를 제공하고 출산 후에는 임신 주별로 피검사와 같은 기본검진과 출산이 임박하면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를 지원한다. 하지만 최근 늘고 있는 산후우울증과 관련한 직접적인 지원과 언어장벽, 문화적차이를 느끼는 이주여성의 환경에 맞는 지원책이 따로 없는 실정이라 의료혜택이 얼마나 실효성을 보일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김해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는 "산후 지원으로 다문화가정에 양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한국인 돌봄 전담사를 파견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며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과 연계해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돌봄사를 파견해 의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산후우울증 등 낯선 환경 속 정신건강도 챙길 수 있는 지원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시 보건소 관계자는 "다양한 차이를 마주하는 이주여성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지원책이 없는 건 사실"이라며 "김해 내 다문화가정이 꾸준히 느는 만큼 이주여성의 눈높이에 맞춘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 내 다문화가구가 점점 더 늘면서 아시아계 이주여성도 많아지고 있다. 2019년 기준 김해시 다문화가구 비율은 전체의 1.7%를 차지한다. 2017년 대비 다문화가구 증가율은 15%로 김해시 가구 증가율 5.8%의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부모 중 여성의 국적은 베트남 56%, 중국 17%, 필리핀 8% 순으로 많았다. 창원도 이와 비슷하다. 2019년 기준 창원의 다문화가구비율은 전체의 2.7%를 차지하고 2017년 대비 11% 증가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부모 중 여성의 국적은 베트남, 중국, 필리핀 순으로 김해와 동일하다.

김해뉴스 원소정 기자 wsj@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