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역을 관통할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분명히 '인구'다. 사회, 경제, 주거, 행정·정치 모든 분야에서 인구문제를 빼놓고는 문제를 풀어나갈 수 없을 정도다. 오죽했으면 '기·승·전·인구'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경남도와 도교육청, 창원시와 김해시를 비롯한 기초지자체들도 정책의 핵심은 인구와 맞닿아 있다. 
 
인구에 기초한 정책수립은 당연한 일이다. 정책 수혜자들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 정책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창원시가 추진하는 인구정책은 이런 면에서 접근방식이 조금 다르다. 창원시는 인구증가라는 목표를 중심에 두고 강력한 재정정책을 펼 것을 공언하고 있다. 2022년 특례시 시행을 앞둔 창원시로서는 인구 100만 명 사수는 절체절명의 과제가 됐다. 다급해진 창원시의 입장이 이해가 간다. 
 
인구감소를 우려하는 건 창원시만이 아니다. '수도권 집중화' 태풍 앞에 선 모든 지자체들의 공통 관심사다. 인구문제가 수도권과 비수도권만의 문제일까. 지역 내에서도 대도시와 인접 도시, 인접 도시와 농어촌 등 지역 간, 도시 간, 인근 지자체 간 미묘한 신경전이 감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자체간 마찰을 경고하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출생과 사망에 따른 인구의 자연감소가 현실화된 마당에 수년 이내에 인구증가 성과를 도출하려면 유출인구는 최소화하고 유입인구는 극대화하는 인구정책 외에 특별한 해답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인구쟁탈전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지역 간 공동발전 도모보다는 개별 도시 중심적 발전논리가 우선시 되면서 지역 간 교류는 뒷전으로 밀리고 교류를 보장하는 교통 인프라와 시스템에 대한 투자도 불투명해 질 것이다. 또한 물류비 증가와 중복 투자로 인한 효율저하로 도시 생산성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최악의 경우 지역 도시들의 동반 경기침체까지 이어질 수 있다. 
 
피할 수 있다면 피하는 게 상책이다. 또 다른 선택지를 찾으면 된다. 공멸이 아니라 공존의 길을 걷기 위해선 대의적 차원에서 지역공생을 위한 거시적 인구정책을 세워야 한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