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메가시티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살아남기 위해 필수적으로 가야 하는 길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지난해 12월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 지역대포럼'에서 "수도권 집중 문제는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 전체가 생존할 수 있느냐의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 역시 부산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의 경제 규모를 수도권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김사열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지난해 8월 26일 부산롯데시그니엘호텔에서 열린 '오셔노미 포럼 2020' 기조연설에서 "정부는 지역 주도의 '균형발전 뉴딜'을 추진하고, 부산을 중심으로 '동남권 메가시티'를 건설해 수도권 집중을 분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 전체 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 절반 이상이 살며 교육 및 주거, 경제기반, 문화까지 무차별적으로 흡수하고 있다.  이같은 '수도권 블랙홀' 현상은 수도권 지역민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데 그치지 않고 수도권 외 지역의 소외 및 위축까지 불러오고 있다. 특히 만 19~34세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은 지역소멸 속도를 앞당기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2019년 경남을 떠난 청년은 1만 2600여 명으로 이 중 1만 여명이 수도권으로 갔다. 여기에 부산과 울산 청년들을 더하면 2019년에만 대략 3만 명의 청년이 고향을 떠나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추세를 꺽지 못하면 동남권의 미래는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새해부터 경·부·울을 하나로 묶어 동남권을 인구 1000만의 거대한 도시권역인 메가시티로 만들고자 하는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이 단연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부산과 울산, 경남 인구를 합치면 약 800만 명에 이르니 인구 1000만 명 급의 메가시티를 꿈꿀 만한 인구 규모다. 지리적인 인접도 수도권 못지 않고 지난해 12월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동남권 메가시티의 현실화에 한발 더 다가섰다. 세 지자체 역시 공동준비단을 발족하고 동남권 특별광역연합을 내년 1월 출범시키기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수도권과 지역의 편중을 없애기 위해 여러 법과 제도를 시행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일 지 모른다. 그런만큼 정치적 개입을 배제하고 국가적 차원의 접근으로 완전히 새로운 동남권 광역특별연합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시·도민의 참여와 공감대 형성이 선행되어야 겠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