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주시 공무직 채용 비리 의혹 조사를 촉구하는 1인 시위 모습.


채용 공정·투명성 잡음 많아  
20대 청년들 대거 지원 인기
정규직 고용형태 자리 잡아



최근 경남교육청이 방과후 학교 자원봉사자들을 대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하자 취업 준비생들과 교사노조까지 이에 반대하는 국민청원에 동의하며 거세게 항의했다.
 
또 지난해 진주시 전 간부 공무원 자녀 2명이 공공기관에 채용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지역사회가 분노로 들끓기도 했다. 당시 시민사회에서는 전·현직 공무원 가족 전수조사까지 요구하며 비리 근절을 외쳤다.
 
이들 모두 공무직(공공부문 무기계약직) 채용 관련 사건이다. 공무직이 뭐길래 시민들은 이토록 민감하게 반응할까. 
 
공무직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정책에 따라 생겨난 새로운 고용형태이다. 60세까지 정년을 보장받는 등 비정규직보다는 안정적이지만 기존 공무원들 보다 낮은 임금 수준, 인사관리 체계 및 규정의 미비 등으로 불안한 면도 있다.
 
이들은 2010년대 초반만 해도 비전문적이고, 불안정한 일로 여겨져 큰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현재는 20대들 사이에서도 인기 직종으로 자리잡았다.
 
일부에서 '돈 있고 백 있는 사람들이 공무직 한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공정성 논란이 일자, 경남 지자체들이 투명성 확보를 위한 조례제정까지 추진하고 있다. 
 
공무직의 시작은 이명박 정권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사회 전 분야에서 비정규직을 많이 채용했다. 경남 공공기관에도 1년 단위로 계약 체결하는 비정규직들이 많이 들어왔다.
 
창원의 교육계 행정 공무직 A씨는 "처음에는 결혼한 30~40대 여성들이 공공부문의 비정규직으로 많이 지원을 했다"며 "마트나 식당 등 현장보다 일이 수월하고 월급도 안정적이어서 일부에서 수요가 있었다. 시험도 서류와 간단한 면접이 전부였다"고 말했다. 
 
장기 근속하는 비정규직들이 많아진데다, 문재인 정부 들어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 정책에 따라 공무직이 현저히 늘었다. 지금은 공공부문 정규직으로서, 노동조합이 결성되고부터 정부에서도 이들의 권리를 법제화하는 등 공무원과 복지 격차를 좁히고 있다.
 
공무직이 큰 인기를 끈 데에는 취업경기가 나빠진 원인도 있었다. 최근 대기업에서 공개채용을 하지 않고 경력직을 선호하자, 청년들이 공무원보다 시험 난이도가 낮은 공무직으로 눈을 돌린 것. 이에 더해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과 고용불안을 느끼는 직장인들도 공무직을 지원하고 있다. 
 
경남에서 공무직 임용이 공개채용으로 바뀌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9년 경이었다. 교육 공무직의 경우 필기시험(NCS)과 면접을 통과해야 한다. 경쟁률은 평균 30~50대 1.
 
학교 사회복지사 일을 하다 시청 행정 공무직에 지원한 B씨는 "사회복지사가 더 전문적인 일일수는 있지만 고용불안이 없고 권리가 보장되는 공무직을 더 하고 싶다"고 말했다.  
 
창원의 한 취업준비생도 "요즘은 공공근로나 공무직을 비롯해 공공기관에서 일하면 다 인기가 많다"며 "쓰레기 줍는 일을 해도 전 연령에서 지원을 하는 추세다. 고용불안을 느끼는 일반 기업보다는 공공기관이 훨씬 낫다"고 말했다.

김해뉴스 황원식 기자 hws321@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