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6일부터 김해지역의 대규모점포 19곳에 대한 영업제한 조치가 시행됐다. 이에 따라 6일 뒤인 지난달 22일 일요일은 의무휴업일에 해당돼 19곳 모두 문을 닫았다. 앞으로도 이들은 관계법령과 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자정부터 오전 8시까지, 그리고 매월 둘째, 넷째 주 일요일에는 영업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의무휴업일 첫날 수많은 시민들은 헛걸음을 해야 했다. 언론이 여러 차례 보도하고 시와 해당 점포들이 사전에 휴업 사실을 알렸지만, 적지 않은 시민들이 이같은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물론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면 일정기간 혼란이 발생할 수는 있다. 중요한 건 혼란을 최소화하는 작업이다. 홍보의 효율성 등을 심각하게 재점검 해 보아야 한다는 뜻이다.
 
시민 개개인에게도 책임이 없을 수 없다.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그리고 내 주변의 일에 조금만 관심을 기울였더라도 혼란을 자초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정부나 김해시의 바람대로라면 대규모점포의 영업을 제한할 경우, 지역상권이 활성화되고 중소 자영업자들이 더 잘 살게 될 것이다. 장시간의 노동에 시달려 온 점포 종사자들의 건강권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낙관적으로만 볼 일은 아닌 듯싶다. 시민들의 불편이 호락호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 등은 의무휴업일 하룻동안 재래시장을 이용하면 된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여러가지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어린 아이를 둔 주부들은 당장 엄두가 안 난다. 주차 문제가 걱정이고, 아이를 들쳐 업은 상태에서 커다란 동선을 그리며 쇼핑을 해야 한다. 게다가 재래시장의 상품들은 신선채소류 중심이어서 브랜드 의류 구입 등 원하는 쇼핑이 여의치 않다. 수유실도 없다.
 
대규모점포의 문화적 순기능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대규모점포에는 반드시 물건을 사기 위해서만 가는 건 아니다. 이들이 가족 나들이 공간과 쉼터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한 주부는 대규모점포의 의무휴업일 날 어디로 가야 할지 벌써부터 걱정이라고 했다.
 
삼계동 등 일부 지역은 대규모점포들이 문을 닫을 경우 장을 볼 곳이 마땅치 않다. 하나로마트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게 적지 않다. 일부 근로자들은 휴업일이 일요일인 데 대해서도 불만이다. 토요일에 근무하는 회사가 많아 장보기가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이런저런 이유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이 용이한 문화시설을 확대하고, 재래시장을 대상으로 지원을 할 때에도 시민들의 편리를 염두에 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