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지역 대형 마트가 지난달부터 둘째·셋째 주 일요일에 문을 닫기 시작했다. 경남 창원·밀양·진주시와 합천군 등 도내 시군의 중형 마트 61곳과 대형 마트 16곳 등 70여 곳도 일제히 휴업에 들어갔다. 유통산업발전법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전주시를 시작으로 각 시·군에서 앞다투어 관련 조례를 개정·공포한 덕분에 이루어진 의무 휴업이다.
 
본 의원은 지난 2010년 12월 김해시의회 본회의에서 '골목상권 살려야 한다'는 주제로 "김해 홈플러스가 경남에서 최고 매출을 올리면서도 지방세는 경남에서 가장 적게 낸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프랑스, 독일, 벨기에처럼 대형 마트의 영업시간을 단축하고 의무휴업 일수를 지정하는 일을 정부 측에 건의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후 다행히 법이 통과돼 그 일이 이루어져서 기쁘다.
 
많은 시민이 대형 마트의 휴업에 당장은 불편했을 것이다. 미리 알았더라면 대처할 수 있었는데 홍보가 미흡했다며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다. 하지만 다수의 시민은 지역 영세상공인들을 살리는 문제라면 이런 불편은 감수해야 한다는 말씀도 해주셨다. 소비자는 당장 불편한 점도 많았겠지만 지역상권이 이날 이나마 숨을 쉴 수 있으니 지역을 살리려는 뜻에 시민들이 동참해 주셨으면 좋겠다.
 
대형 마트는 재래시장, 중심상권, 동네 구멍가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지방 중소 시·군의 경우 대형 마트는 '유통 공룡'이다. 이 공룡은 전통시장과 골목 상권, 토착 소상공인들을 입에 물고 흔들어댄다. 흔히 대형 마트가 하나 생기면 3천 개의 가게가 죽는다고 한다. 이를 입증하듯 부원동, 대성동, 서상동을 비롯한 지역 곳곳의 골목 상권이 거의 죽어서 빈 가게가 많아 건물주들도 고민이고 서민들도 먹고살 길이 막막하다.
 
대형 마트의 증가는 지역에 부가가치를 창출하기보다는 경쟁사간 제로섬 방식으로 재래시장, 골목 상권의 매출감소로 직결된다. 결국 대형 마트에 눌려 집 주변의 슈퍼마켓들이 없어지고 대형 마트에 가야만 물건을 살 수 있고 또 그곳에 가면 평소에 필요 없는 물건까지도 손수레에 쓸어 담는 경우가 많아 과소비로 이어진다.
 
지역 경제를 살리려면 대형 마트 휴업도 늘리고 재래시장도 중소상인들을 위한 시설 현대화사업을 해야 한다. 또 중소 유통 점포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동도매물류센터를 건립하고, 중소기업청이 실시하는 '나들가게'를 지역 영세 상인들과 연계해 더 많은 정보와 이익을 낼 수 있는 시스템으로 만들어 줘야 한다.
 
시에서 진행하는 상인교육, 창업 강좌 등에 더 많은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공영주차장 개설, 마케팅 교육, 아케이드 설치, 온라인 쇼핑몰, 공동 디자인개발, 시장 상품권 발행과 확산 등은 기본이고 우리 시에 있는 6개의 전통시장마다 특색 있는, 테마가 있는 시장이 되게 하고 동상동 재래시장처럼 문화와 전통시장이 결합하는 단체들에는 다양한 지원을 해줘야 한다.
 
지역사회단체와 상인단체, 경영전문가들이 모여서 소상인들을 도울 수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재래시장에 상담과 지원이 가능한 '지역소상인 지원센터'도 필요하다. 이제는 김해시가 재래시장을 살릴 방법들을 더욱 노력할 때이다.
 
또 지역상권이 기지개를 켜게 하려면 대형 마트의 한 달에 두 번 휴업만으로는 안 된다. 거창군처럼 우리 시의 중형 마트도 대형 마트처럼 자발적인 휴업을 해 주는 것이다. 모두가 원하는 상생을 정부보다 먼저 나서서 국민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 정치권도 앞다투어 지역경제를 살리는 문제에 나서주지 않겠는가?
 
이 와중에 농협 하나로 마트가 자신들은 쉬지 않는다는 광고를 내걸고 대형 마트 휴업으로 매출이 30% 늘었다고 자랑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농협이 지역 상생의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골목 상권 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협조가 무엇보다 요청된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