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천저수지와 망천마을, 안하농공단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김해의 북쪽에 위치한 한림면은 공장이 속속 들어서고 있지만 인구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한림면의 이름은 참 개성적이다. 대부분의 지명이나 행정구역명이 마을의 지리적 특징이나 좋은 뜻글자에 매달렸던 데 반해, 이 고장 출신인물 김계희(金係熙) 공의 관직명이었던 한림학사에서 마을이름의 유래를 구했던 것은 좀 유별나다.
 
신라 경덕왕 때부터 유행했던 중국지명의 채용과 변용이 좋은 글자 뜻에 기초해 보편적인 공(公)으로 여겨지던 전통 속에서 사(私)로 간주되던 개인의 경력에서 마을이름의 유래를 구했으니 오히려 매력적이란 생각까지 든다. 기회만 있으면 깎아 내리려 드는 통에 영웅이 탄생하기 어렵다는 우리 역사의 오래된 푸념이 한림면에선 무관했던 모양이다.
 
김해시 북쪽에 위치한 한림면은 시내 가까운 쪽에서 시계방향으로 신천, 명동, 퇴래, 병동, 장방, 가산, 가동, 시산, 금곡, 안하, 용덕, 안곡의 12개 리 42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낙동강 쪽의 서북부는 비교적 넓은 평야를 가진 들판마을이고, 시내나 생림면과 경계를 이루는 남동부는 비교적 높은 산들의 산골마을이다. 전통적으로 평야의 쌀과 산지의 단감 생산을 주업으로 삼던 마을이었으나 근년에 불어닥친 공장건설의 열풍에 한림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미 몇 개의 공단도 세워졌고 마을 속속들이 공장이 안 들어선 곳이 없게 되었다. 오늘도 산은 벌겋게 깎여 나가고 논과 저수지를 메우는 공장건설의 굉음이 요란하게 들린다.
 
북부를 관통하는 화포천을 따라 경전선의 KTX가 달리고, 김해와 창원을 연결하는 김해대로가 남부의 마을들을 가로 지른다. 59.52㎢의 땅덩어리는 10만이 넘는 장유(54.59㎢)와 4만의 진영(39.73㎢) 보다 넓지만, 2012년 5월말 현재 1만 명이 채 안 되는 인구에 불과하며 최근 5년 사이에 5분의 1이나 되는 2천여 명의 인구감소를 보이고 있다. 공장과 근로자는 엄청나게 늘어나도 마을주민이 급격히 줄어드는 불균형이다. 공장유치의 방법을 고민할 때가 아니라 주민이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를 고민해야 하는 때가 되었다. 이런 생각을 하며 시내에서 가까운 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한림면 순례의 발걸음을 시작한다.

▲ 큰고개라 불렸던 망천고개 일대에 조성된 가구쇼핑거리. 1990년대 중반부터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시내 북쪽의 삼계사거리를 나서 '큰 고개'라 불렸던 제법 긴 슬로프의 망천고개를 넘으면 화려한 가구점의 대형간판들이 홍수를 이룬다. 한림면 신천리 가구거리의 시작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북부동과 삼계동 등에 있던 점포들이 이주를 시작해 주에 3~4천여 명의 고객이 다녀가는 가구쇼핑의 명소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펜션이나 카페 같은 멋쟁이 가구점들이 들어서고 있는데, 김해대로 남쪽 산비탈에 많은 가구공장들이 입주해 있는 한림신천공단과 함께 전국유수의 가구단지로 특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망천삼거리를 지나 왼쪽의 김해대로1472번길로 들어서면 망천 마을회관과 정자목이 있다. 김해대로에서 마을회관 앞으로 들어 온 반원형의 공간이 위성지도에서는 잘 보이는데, <김해지리지>에 광대들이 놀았다는 '솔 놀이터'가 여기가 아닌지 모르겠다. 지금은 어느 가구백화점 하나가 자리하고 있다. 정자나무 앞에서 안쪽으로 비탈길을 따라 오르면 1967년 7월 11일에 천연기념물 제185호로 지정된 신천리 이팝나무가 얼굴을 내민다. 흰 쌀밥 같이 눈부시던 꽃들은 어느새 다 지고 말았지만 650살 나이에 걸맞지 앉게 진녹색의 이파리들이 풍성하고 군데군데 혹이 나 있는 줄기와 가지의 몸통은 풍채가 참 좋다. 매년 음력 12월 그믐에 "용왕(龍王)을 먹이는" 정성스런 제사가 올려지는데, 수신(水神)의 용왕님에게 순조로운 비를 부탁해 한해의 농사가 잘 되도록 빌던 전통이었다. 그래서 농사가 시작되는 5월에 쌀밥같은 흰 꽃이 활짝 피는 것을 용왕님의 응답으로 여겼던 모양이다. 이팝나무가 앞에 있는 우물을 지켜준다거나 꽃이 활짝 피면 풍년이 든다거나 바랄 망(望) 내 천(川)의 망천과 새 신(新)과 샘 천(泉)의 마을이름들이 다 함께 통하는 얘기들이다. 마침 계속되는 가뭄으로 바로 옆에 있는 신천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낼 지경이다. 지난달에도 풍성한 꽃을 눈부시게 달았으니 이제는 용왕님이 응답하실 차례인 모양이다. 신천리의 신천은 신천초등학교 아래의 맑고 물맛이 좋은 '참 샘'이란 우물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 신천리 이팝나무에서 조금 더 오르면 나타나는 흥덕사 경내에 있는 도문화재자료 김해신천망월석탑.
이팝나무에서 조금 더 오르면 흥덕사란 절 안에 도문화재자료 제262호 김해신천망월석탑(1997.12.31 지정)이 있다. 원래는 <김해지리지, 1991> 편찬 당시까지 망천마을 남쪽 탑골(塔谷)의 암자 터에 있었던 3층석탑이었는데, 1984년 건립의 흥덕사에서 1~2층과 1장의 기단석, 그리고 지대석의 파편을 옮겨 지금 위치에 복원했다 한다. 그러나 원래 자리에는 기초의 기단부분이 의외로 잘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다. 확인조사를 통해 보다 충실한 복원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허왕후의 고향을 기리기 위해서 만들었다는 전승도 있으나 3단의 지붕돌 주름과 몸돌의 비례로 보아 고려후기의 석탑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상변경허가절차를 거쳤는지 모르겠으나 어제 오늘 석탑 앞에 솟구친 태양전지판넬이 흉물스럽다.
 
김해대로 건너편의 신천초등학교는 1963년 3월 개교 이래 금년 2월 48회 1천14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지만 35명(남 18)의 학생과 5명의 유치원생이 송길성 교장 이하 15명의 교직원들과 공부하는 초 미니학교다. 전교생이 한 자리에 모여 '젓가락으로 콩나르기 대회'하는 모습이 흐뭇하다. 학교를 나서 김해대로를 조금 오르면 낙원공원묘원 표지판이 눈에 띄는데 왼쪽의 김해대로1402번길을 따라 한참을 오르면 산꼭대기의 여기저기를 깎아 만든 공원묘지가 전혀 다른 분위기를 연출한다. 누구나 한 번은 반드시 올 곳인데 왜 이렇게 낯설고 어색한지 모르겠다. 1985년 조성 이래 2만 여기의 봉분들이 가깝게는 주촌면 덕암리 쪽, 멀게는 김해평야와 남해바다를 바라보고 앉아 있다. 새삼스레 "요즈음 나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를 몇 번이나 되뇌이며 김해대로에 내려선다.
 
▲ 명동삼거리에서 한림로에 들어서 명동마을을 지나면 나타나는 두례마을 표지석.
고개 위에 명동정수장이 보인다. 지난 2003년 1월에 준공해 한림, 진영, 주촌, 진례, 장유에 맑은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2008년 준공 후 1일 1천538㎾, 연 209만㎾의 전기를 생산해 14억 원의 수익을 올리는 대양광발전소가 자리하고 있다. 개방적 녹지공간에 붉은 벽돌건물과 수조, 펼쳐진 태양전지판에 홍보관과 작은 공원의 쏠라파크도 있어 어린이 단체관람객의 견학행렬이 심심치 않은 모양이다. 고개를 내려가며 커다란 한림딸기가 그려진 한림면의 표지판에 눈길 한 번 주고, 길 건너 금음공단 표지판 옆으로 가면 금음마을회관이 있다. 몇 호 되지 않는 작은 마을이지만 등 뒤에 지고 있는 금음산(350m)은 한림면의 주산이다. <김해지리지>는 주촌 쪽에서는 응달 음(陰)을 쓰고, 한림 쪽에서는 소리 음(音)을 썼다. 어느 쪽의 오기였을 수도 있겠지만 산 저쪽은 급하고 이쪽이 아늑한 것에 대한 한자표기의 차이인지도 모르겠다. 같은 산이라도 주촌 쪽에서는 '쇠 그늘'이고, 한림 쪽에서는 '쇠 소리'인가?
 
김해대로 건너 명동저수지 아래의 인현마을로 간다. 왕후의 이름은 아니고 고개 현(峴)이니 '인티'로도 불렸던 고개마을이다. 봉황이 깃든다는 서봉산(棲鳳山) 자락에 명동저수지가 키워내는 들판을 앞에 둔 작지만 아늑한 마을이다. 마을입구에 있는 200·150살짜리 2그루의 왕버들과 작은 정자는 여느 시골마을에나 있을 법한 정겨운 풍경이다. 지금은 밝은 명(明)을 쓰는 명동리지만 원래 울 명(鳴)이었다. 서봉산 봉황이 우는 마을이라 명동리가 되었단다. 명동 본 마을은 조금 아래에 있지만 유래를 생각하면 여기가 '원조'일 법도 하다. 명동삼거리에서 한림로에 들어서 명동마을 지나면 두례마을 표지석이 나온다. 왼쪽으로 가면 한림정, 오른쪽으로 가면 안하리로 가는 갈림길이다. 한림 쪽으로 한국전력공사를 지나고 야트막한 불티고개(佛山峙)를 넘으면 이북초등학교가 있다. 1929년 9월 개교 이래 지난 2월 모두 80회 4천89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지만, 지금은 1개 학년에 1개 학급의 모두 65명(남 37)인 학생들이 문준철 교장 이하 15명 교직원들과 공부하는 가족적인 학교다. 김해 북쪽의 2개 면을 합해 이북면이라 했던 한림면의 원래 이름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학교다. 제발 북한과 혼동하지 마시기를.
 
▲ 명동교회.
한림로 왼쪽의 낙산마을회관과 건너편에 흰색 사각형 첨탑이 고색창연한 명동교회(담임목사 반성호)에 들렀다가, 임진왜란 때 김해성을 사수하다 순절한 김득기(金得器) 공의 낙산재(洛山齋)로 간다. 1925년에 영모재(永慕齋)로 창건되었고 1955년에 개축되었다는데 많이 쇠락해 있다. 갈라지는 길에서 한림 쪽을 버리고 왼쪽의 퇴래교로 퇴래천을 건너 퇴래리로 간다. 퇴래교 좌우에는 막 모내기를 끝낸 낙산 뜰이 이발소라도 다녀온 듯이 깔끔하다. 공장 몇을 지나 퇴래못(퇴은지(退隱池))을 끼고 도니 퇴은마을이다. 물러날 퇴(退), 올 래(來), 숨을 은(隱)이니 단종 퇴위(1455년)를 참지 못한 서강(西岡) 김계금(金係錦) 공과 인조와 효종 때 회령부사를 지낸 김영준 공이 벼슬에서 물러나 살았던 데서 비롯된 이름으로, 한림의 유래가 된 김계희 공의 호도 퇴은이었다. 김해김씨 서강파의 중시조인 김계금 관련의 목판들이 도문화재 352호(1850년 제작, 26장)로 지정돼 진영 신용리 미양서원에 보관돼 있다.
 
퇴은마을 뒷산의 오서산(吾西山, 151m)이 퇴래천 쪽으로 내려간 동남쪽 산자락에서 대규모의 가야 고분군과 생활유적이 발굴되었다. 1984년에 성균관대박물관은 4~5세기 경의 목곽묘(11기)·석곽묘(2기)·옹관묘(14기)의 고분군을 발굴했고, 2008년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고상가옥(19동)·도랑(4기)·집석유구(1기) 등 퇴래리고분군을 조성한 가야마을의 생활유적을 조사했다. 모두 중소형의 고분이었지만 국립김해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화려한 태양문장식의 철갑옷도 여기서 출토된 것이란다. 지배층의 대형고분도 있을 것이고 60㎝ 이상되는 큰 독의 옹관묘가 많은 특징도 보이고 있다. 다만 첫 발굴 이후 30년이 지나도록 추가 발굴조사도 없었고 문화재 지정도 없었다. 발길에 차이는 무수한 토기파편과 산란된 많은 돌들은 도굴과 경작으로 인한 파괴에 신음하는 우리 김해의 자산이다.
 
▲ 인현마을 입구와 왕버들.
신촌(新村)의 '새마을' 마을회관 옆으로 내려와 신촌못을 건너고 떡고개를 넘어 김해대로에 나서니 바로 위에 한림민속박물관이 보인다. 2006년 3월에 개관한 '추억의 박물관'에선 마상태 관장이 전 재산을 들여 평생 수집한 2만여 점의 근현대 민속품들을 무료로 구경할 수 있다. 전통 민속품을 주로 전시하는 제1전시관과 근현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테마전시관에는 1960~1970년대 교실도 있고, 만화방도 있고, 미용실도 있다. 바깥에도 농사와 민속놀이의 전시체험관과 우물이랑 물레방아도 있고, 기찻길과 곤충 채집장에 공룡박물관까지 있다. 박물관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학습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는데, 입구에 있는 박물관가든에는 회식이나 차와 식사만을 위해 찾는 손님도 적지 않다고 한다.
 
박물관을 나와 소업마을회관과 순복음소업교회(2003, 담임목사 정정건)를 돌아 병동삼거리와 동서대로가 시작하는 소업삼거리를 지나 신기삼거리에서 병동리(屛洞里)에 들어선다.  무릉천을 따라 가달마을에 들렸다가 범곡마을을 지나 병동농공단지(2003년 9월, 17개 업체) 아래서 동서대로 밑 굴다리로 어병마을을 향한다. 김해대로1022번길을 동쪽 끝까지 가면 2층 붉은 벽돌 건물의 어병 마을회관이 있다. 임금 어(御)에 병풍 병(屛)이다. 고려 말에 왕실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던 김관(金管) 공이 물러나 은거하자 왕이 병풍을 내렸고, 여기에서 비롯된 마을이름은 다시 병동리의 유래가 되었다. 조선시대 탁영 김일손(1479~1551) 공의 선조이면서 김해김씨 삼현파의 중시조이기도 한 그는 성리학의 안향과 교유하면서 3차례나 충선왕을 모시고 원나라에 다녀왔고, 도성 화재 때는 충렬왕을 구출하기도 했던 고려말 6대(원종~충목왕)의 충신이었다. 마을회관 조금 위에는 숲처럼 보이는 한 그루의 느티나무가 있다. 400살에 너비 150㎝, 높이 22m의 거목이다. 마을의 모든 사연을 다 기억하고 있을 것 같은 김해의 노거수다.





이영식 인제대 역사고고학과 교수·박물관장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