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부곡동에 있는 장유소각장(김해자원순환시설) 전경.  원소정 기자
김해시 부곡동에 있는 장유소각장(김해자원순환시설) 전경. 원소정 기자

 

11월 시행사 선정 마칠 계획
증설땐 쓰레기 300t처리 가능
비대위 "행정소송 제기할 것"
시 "주민 부정적인식 해소 노력"



김해시가 현안 사업 중 하나인 장유소각장(김해시 자원순환시설 광역화·현대화사업) 증설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가운데 일부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어 시가 어떻게 실타래를 풀지 관심이 쏠린다.
 

◇장유소각장 증설 사업 진행 상황은? = 김해시는 장유소각장 증설을 위해 지난 6일까지 실시설계와 시공을 맡을 시행사 모집 2차 재공고를 진행했다. 현재 2개 업체가 나서 경쟁입찰 중이다.
 
시행사가 제출한 기술제안 평가에 90일 정도가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오는 11월 정도면 업체 선정이 끝나게 된다. 시는 시설설계 후 내년 초 경남도에 사업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다. 
 
이후 도에서 사업승인이 떨어져 착공에 들어간 후, 차질 없이 추진된다면 2025년 완공될 것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가 추진 중인 장유소각장 증설 사업이 마무리되면 하루 300t의 생활폐기물 처리가 가능해진다. 
 
당초 시는 2015년 장유소각장을 외곽지역으로 이전하려고 했으나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했다. 이에 2017년 장유소각장 증설로 사업이 변경됐다.
 
장유소각장 증설 사업은 993억 원(국비 50%, 시비 25%, 도비 20%, 창원시 5%)을 들여 소각장 내 150t 규모 소각로 1기를 신설하고, 노후 시설을 리모델링하는 현대화 사업이 포함됐다. 창원시 예산이 들어가는 이유는 장유소각장이 광역화 사업으로 추진됨에 따라 창원시 진해구에서 발생하는 하루 50t가량의 생활폐기물이 장유소각장에서 처리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소규모 소각장을 통·폐합하고 기존 소각장들을 광역화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다.
 
2001년 가동한 장유소각장은 이미 내구연한인 15년을 훌쩍 넘겼다. 이에 따라 현대화사업 추진이 필수라는 게 시의 입장이다.
 
시는 쓰레기 배출량이 늘면서 쓰레기 처리용량이 한계에 다다르자 소각장 증설을 서둘렀다. 현재 김해시에서는 하루 평균 180~200t의 생활폐기물이 배출되고 있다. 하지만 장유소각장의 하루 최대 소각량은 150t에 불과하다. 나머지 생활폐기물은 부산 명지소각장에서 위탁 처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2015년부터 부산시와 3년 주기로 협약을 맺고 5년간 총 72억 원에 달하는 위탁 처리 비용을 지불했다.
 
 
◇주민비대위 "증설은 안 돼. 이전만이 답" = 하지만 장유소각장 증설을 두고 일부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장유소각장 증설반대 및 이전촉구 주민공동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줄곧 장유소각장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이영철 비대위원장은 "경남도의 사업승인 처분이 내려질 경우 곧바로 행정소송 및 집행정지를 제기하기 위해 법무법인 선임계약을 체결했다"며 "경남도의 사업승인 처분이 날 때까지 소송인단을 계속해서 모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장유 주민 차 모(41·여)씨는 "자녀 한 명이 장유소각장과 직선거리 300m 이내에 있는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다"며 "소각장에서 내뿜는 성분들이 몸에 쌓이다보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수년 뒤에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된다. 소각장이 지어질 때와 달리 현재는 장유 인구가 계속 늘고 있는 만큼 당연히 외곽지역으로 이전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는 장유소각장 영향권 주민들을 위해 다양한 편의시설을 조성해 보상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장유소각장 영향권 주민들의 주거환경개선사업에 30억 원을 들여 노후 엘리베이터 교체, 아파트 외벽 도장, 인도 정비 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도 생활SOC행복순환센터 건립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행복순환센터는 총사업비 229억 원을 들여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약 9960㎡ 규모로 건립된다. 이 시설은 주변 주민들을 위한 주거지주차장을 비롯해 공공도서관, 장유출장소, 국민체육센터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생활SOC기반시설로 구성된다.
 
김해시 청소행정과 이치균 과장은 "지역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지역에서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이미 사업이 지연되면서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빠른 시일 내 사업을 착공하고, 주민들의 부정적인 인식 해소와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편의시설을 조성하는 데에도 예산과 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해뉴스 원소정 기자 wsj@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