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동에 있는 경남은행 본점.
올 하반기 김해를 비롯한 경남지역 경제계의 최대 이슈는 경남은행 매각문제이다. 특히 김해지역 상공계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으로 6천여 중소기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총 2천400여 업체(40.4%)가 경남은행을 주 거래은행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한 파장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현재 지방은행들 가운데 자산규모 3위인 경남은행(자산 23조원) 인수를 두고 자산규모 1위인 부산은행(자산 33조원)과 2위인 대구은행(자산 29조원)이 치열한 물밑 경합을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남도가 경남지역 상공인들을 중심으로 '인수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고려철강을 컨소시엄 대표로 선정해 인수전에 가세했다.
 
금융권에서는 자금동원력과 운영 능력 면에서 부산은행과 대구은행 간의 2파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러나 경남도가 지난달 13일부터 3일간 김두관 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경남은행 지역인수 투자유치단'을 일본 도쿄와 오사카, 나고야 등에 파견, 인수전에 변수가 발생했다. 투자유치단은 재일본 도쿄 경남도민회 등 재일교포 170여 명을 대상으로 투자유치설명회를 열어 3천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 부산은행이 인수할 경우  '통합시너지 크지만 일자리 줄수도'

먼저 부산은행이 경남은행을 인수할 경우 부산과 경남이 원래 한 뿌리였다는 점에서 정서상 큰 무리가 없다. 이런 정서를 바탕으로 한 시너지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위해 부산은행은 별도의 지주회사를 설립, 지주회사 아래에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두는 '1지주 2은행 체제'를 채택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부산은행은 지난 2007년 이후 경남지역 영업점 개설을 중단했으며, 지난 9월에는 지방은행 최초로 지주사로 전환해 경남은행 인수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을 마쳤다. 그러나 부산은행이 경남은행을 인수하면 인접 점포간 통폐합이 불가피하고, 이는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박재경 부산은행 전략기획팀장은 "두 은행의 지점이 겹치는 곳은 8곳에 불과하고 한햇동안 채용할 신규인력(300명)을 1/3만 줄여도 구조조정 문제는 해결된다"면서 "상대진영에서 언론플레이를 통해 이 문제를 부각시키고 있지만, 구조조정은 절대로 없다"고 잘라 말했다.
 

◆ 대구은행이 주인이 되면 'IT·자동차 희색 반면 대출문턱↑'

대구은행이 경남은행을 인수하면 울산과 경남으로까지 영업권역을 확대할 수 있고, 대구의 IT와 전자, 경남의 자동차 조선 산업을 아우르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대구은행은 지방공동 지주사 체제를 복안에 두고 이번에 매물로 나온 광주은행까지 인수 대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대구·경북 지역과 경남의 정서가 많이 다르고 지역 실정에 어둡기 때문에 지역 업체들에 대한 대출의 문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다 특정 지방은행의 영업권이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확대된다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대구은행 전략기획부 김재경 차장은 "(대구은행은) 규모가 작은 지방은행의 경영권 방어차원에서 공동 지주사를 중심으로 지역밀착 영업을 하자는 것이지, 일부에서 우려하는 인수합병(M&A)개념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 경남도, 지역 자본 인수 '명분은 좋지만 사금고화 가능성'

경남도는 지역자본으로 형성된 경남은행을 도민들에게 되돌려주는 게 타당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지역 상공인들을 중심으로 도민 주를 발행해 도민이 주인이 되는 은행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신한은행 사태에서 보듯 은행이 자칫 특정 기업이나 자본의 사금고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하고 있다. 경남은행인수추진위원회 김길호 팀장은 이에 대해 "도민들이 주인인데 특정기업이나 자본이 은행을 마음대로 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금융권과 경남도의 입장에서는 초미의 관심사이지만 김해지역의 중소업체들과 시민들의 반응은 의외로 담담한 편이다.

진영에서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중소업체 대표 김상철씨는 "(누가 인수하건)중소기업 육성자금을 많이 풀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삼방동에 거주하는 주부 박미영씨는 "경남은행이 없어진다면 일단 서운하겠지만 더 좋은 조건이 조성돼 서민들에게 은행의 문턱이 낮아지기만 한다면 이러나 저러나 별 관계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