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김병찬 기자 kbc@
해반천과 봉곡천 만나는 화목동 합류지점
조만강 거슬러 올라온 배 정박 남포어장 유명
드넓은 장관 갈대밭은 일제 강점기 때 개간

바람 살랑살랑 부는 강 신비로운 풍경 자아내
조선말 허훈 "어찌 산수화를 그리지 않겠는가"
지금은 농지로 변해 옛 남포 모습 찾을 길 없어
 


해반천(海畔川)은 바닷가 냇물이라는 뜻이다. 오래 전, 이 지역은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냇물과 만나는 곳으로서, 민물과 바다, 산과 들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졌던 곳이었다. 그런 만큼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실제로 해반천 주변은 호계(虎溪) 주변과 마찬가지로 대성동, 봉황동 등 많은 가락국 시대의 고분 및 생활 유적이 발굴된다. 현재도 주변에는 아파트 등의 주거지와 공원 등 편의시설 및 박물관 등의 문화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내외동(內外洞)과 서상동(西上洞) 사이를 가로지르는 해반천은 흥동(興洞)과 전하동(田下洞)을 지나면서 봉곡천(鳳谷川)과 만나 화목(花木) 3통과 4통의 서쪽을 휘감은 뒤 남쪽의 조만강(潮滿江)과 만나 바다로 향한다. 해반천이 봉곡천과 만나는 그곳은 옛날 조만강을 거슬러 올라 온 배들이 정박하던 남포어장(南浦漁場)으로 유명한 곳이었다. 조선 후기 넓은 갈대밭이 형성되었다가 일제 강점기를 거친 뒤 차츰 개간되어 오늘날과 같은 농토가 되었다. 현재도 자연마을인 개골동·공이등·남포(南浦)·도란지·신포(新浦)·이양지·효동(孝洞)·신포답(新圃畓) 등의 이름들 속에 남포가 계속 들어 있으나 주민들조차 이곳이 남포였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한다. 지도상에 옛 남포의 앞들인 화목 3통에 남포들이라는 지명이 있고, 화목동에 남포교회가 있어 아직도 이 지역이 그 옛날 바다를 건너고 조만강을 거쳐 온 수많은 배들이 정박하던 남포였음을 기억하게 한다. 게다가 김해에 거주하는 할머니들이 부르는 민요 속에 남포라는 지명이 들어가 있는 것 또한 꼭 기억하려 하지 않아도 이미 김해 문화 속에 남포가 각인되어 있음을 잘 알게 해준다. <고려사절요> 우왕(禑王) 3년에는 '김해부사 박위(朴威)가 황산강(黃山江)에서 왜구를 공격하여 물리쳤는데, 처음에 왜구의 배 50척이 먼저 김해 남포에 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기도 하니, 왜구가 김해로 들어오기 위해 배를 정박했을 정도로 고려시대 당시에도 남포는 포구로서의 역할이 대단하였음을 알 수 있다.
 

▲ 화목동 남포교회. 옛 남포 지명의 흔적이 남아 있다.
조선 후기 이학규(李學逵·1770~1835)는 시에 붙인 주에 "남포는 부의 남쪽 5리에 있다. 안개 낀 물이 끝이 없고, 갈대가 멀리 넓게 바라보인다. 가을과 겨울밤에는 물짐승이 무리를 이루어 새벽까지 시끄럽게 부르짓는다. 매년 상강(霜降) 전후 3일 동안 갯가의 모래 속에서 벌레가 잡히는데, 색은 청황색이고 모양은 집게벌레와 같으며, 낚시 미끼로 쓰면 여러 고기들이 너무도 좋아한다. 고을 사람들은 벌레가 왔다는 소식을 들으면 앞다투어 잡는데 '고깃밥'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이제 그의 시를 감상해보자.


갈대꽃 핀 남포에 달빛이 부서지는데
밤이든 낮이든 온갖 새소리 들려오네
상강 고깃밥 소식에도 기뻐하는구나
다들 다래끼 들고 물가로 내려가네  

蘆花浦上月紛紛(노화포상월분분)
夜㖡朝嘲百鳥聞(야야조조백조문)
卻喜降霜蟲信至(각희강상충신지)
盡提笭箵下湖濆(진제영성하호분)

   
<이학규, 금관기속시(金官紀俗詩)>  


앞 두 구절에서는 이학규가 살았던 당시 남포의 풍경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하였으니, 넓게 펼쳐진 벌판에 하얗게 핀 갈대꽃이 살랑살랑 부는 바람에 달빛을 흩어낸다. 새들은 빽빽이 우거진 갈대 속에 숨어 모양은 보이지 않고 지저귀며 귀를 간질인다. 그런데 이렇듯 잔잔하고 조용하던 강가로 사람들이 추위에도 불구하고 와르르 몰려 내려와 소란스러워진다. 바로 고깃밥을 잡으려는 무리들이다. 풍광의 아름다움과 사람들의 역동감이 함께 했던 옛 남포의 분위기를 제대로 느끼게 해주는 시다.
 
다음은 김해로 들어와 남포에서 풍광을 즐기며 노닐다가 배를 타고 떠나면서 허훈(許薰·1836~1907)이 지은 '무자(戊子·1888) 4월 9일 김해에 도착하여 바다를 보면서 노닐다가, 남포에서 배를 타고 내려갔다'라는 뜻의 <무자사월구일도금관작관해지유자남포승주이하(戊子四月九日 到金官 作觀海之遊 自南浦乘舟而下)>라는 시 두 수를 보자.


맑은 놀이 이 호숫가로 다시 정하니
달빛 비친 갈대꽃에 지난 해 생각나네
돛 그림자 높아지자 붉은 빛 다시 비추고
강줄기 커지니 푸른빛이 하늘에 이어진다
뿌연 연기 부드럽게 고기잡이 집과 만나고
먼 숲이 우뚝우뚝 섬과 밭을 구분하네
금릉의 서화 가득 실은 선비
이 길이 미불의 배와 몹시도 흡사하구나  

淸遊重卜此湖邊(청유중복차호변)
月色蘆花憶去年(월색노화억거년)
帆影忽高紅返照(범영홀고홍반조)
江身轉大碧連天(강신전대벽련천)
疎煙冄冄逢漁戶(소연염염봉어호)
遠樹亭亭記島田(원수정정기도전)
滿載金陵書畫士(만재금릉서화사)
此行多似米家船(차행다사미가선)

   
 
허훈은 한 해 전인 1887년에 남포에 와서 놀았던 기억을 더듬으며 새로 만난 남포에서의 감동을 노래하고 있다. 돛을 높이 달고 고기잡이에 여념없는 고깃배의 불빛, 멀리 넓은 강과 하늘이 하나로 이어진 풍경, 마을로 내려앉은 희뿌연 안개, 섬과 밭 사이사이로 이어진 숲 등 남포의 풍경을 말로 그려 놓았다. 마지막 구절의 미가(米家)는 중국 북송(北宋·960~1127)시대의 화가 미불(米 )을 가리킨다. 그는 항상 서화(書畵)를 배에다 싣고 강호를 유람했는데, 여기에서 '미가선(米家船)'이라는 이름이 나왔다. 허훈은 자신이 타고 있는 배를 미불의 미가선에 비유하고, 미불이 그림을 배에 싣고 다니듯 자신은 배에서 바라본 남포의 풍경을 배에 싣고 간다고 표현하고 있다.


물 위에 뜨니 광한의 뜰에 오른 듯
신선의 바람 두 겨드랑이에 절로 시원하구나
수많은 산이 모든 이에게 영구의 붓 들게 하고
수많은 물은 모두 역씨의 경전을 이루게 하네
큰 개펄 어둑한 연기 짙은 숲에 기대었고
세 모래톱 향기로운 풀은 푸른 하늘에 닿았네
이번 길에 강호의 빼어난 경치 넉넉히 얻으니
굽이굽이 어촌에 마침 역정을 두었네 

汎汎疑登廣漢庭(범범의등광한정)
仙風兩腋自泠泠(선풍양액자영령)
羣山摠人營丘筆(군산총인영구필)
衆水都成酈氏經(중수도성역씨경)
大鹵冥煙依樹黑(대노명연의수흑)
三洲芳杜接天靑(삼주방두접천청)
此來剩得江湖勝(차래잉득강호승)
曲曲漁灣合置亭(곡곡어만합치정)

   
 
▲ 해반천과 봉곡천이 만나는 곳이 옛 남포이며, 화목 3통에 남포들(흰 점선)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광한전(廣漢殿)은 달에 있다는 궁전이다. 따라서 첫 구절 광한의 뜰은 달 앞에 넓게 펼쳐진 뜰이니 여기에서는 남포 앞으로 펼쳐진 그 옛날 낙동강이다. 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남포 앞의 강은 신선이 사는 곳인 양 신비로운 풍경을 펼쳤다. 세 번째 구절의 영구(營丘)는 중국 송나라 초기 산수화의 3대가로 꼽히던 이성(李成·919~967)으로, 평탄한 산야를 그리는 평원산수법(平遠山水法)을 완성하였다. 네 번째 구절의 역씨( 氏)는 중국 북위(北魏)의 학자 역도원( 道元·466~527)이다. 그는 중국 북쪽 지역의 하천지(河川誌)인 <수경주(水經注)>를 펴냈다. 시인은 남포의 아름다운 평야 풍경은 그 누구라도 산수화를 그리도록 하고, 이리저리 얽혀 흐르는 물줄기들을 보면 하천의 모양을 기록하지 않고는 배기지 못할 것이라고 표현하여 남포 주변의 풍경을 극찬하고 있다. 숲이 배경으로 자리 잡은 개펄 주변으로 안개가 흐릿하게 두르고, 삼각주로 형성된 모래톱에 펼쳐진 갈대는 아득히 하늘과 맞닿았다. 이러한 남포의 풍광 속에서 노닐 수 있었던 것은, 나그네가 머물 수 있는 역정(驛亭)이 있기 때문이니 얼마나 큰 행운인가?
 
남포는 개간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갈대가 넓게 펼쳐져 장관을 이루던 곳이다. 이는 모든 사람들에게 남포를 기억하게 하고, 시인에게는 시의 소재를 제공하였다. 이제 조선조 말 세 사람의 시를 통해 당시 갈대꽃이 장관이었던 남포의 풍경을 상상해보자.
 

게 잡는 포구 어촌에 하나의 색 길게 뻗더니
길게 자란 갈대가 벌써 가을 빛이로구나
맑은 새벽 사공이 작은 문 밀고나가더니
강 하늘에 이른 서리 내렸다 착각을 하네 

蟹潊漁灣一色長(해서어만일색장)
脩脩蘆荻已秋光(수수노적이추광)
淸晨艄子推篷戶(청신소자추봉호)
錯道江天落早霜(착도강천낙조상)

   
<허훈, 남포노화(南浦蘆花)>  

 
살이 꽉 찬 게가 갈대 사이를 점령하는 계절이다. 갈대꽃이 하얗게 핀 남포 벌판은 한 줄기 빛인 듯 서리가 내린 듯 온통 하얀 색 뿐이다. 이른 새벽에 일어난 사공이 이 가을 서리가 내린 줄 알고 깜짝 놀라는 모습이 손에 잡힐 듯 잘 그려져 있다. 다음은 이종기(李種杞·1837∼1902)가 본 남포의 갈대꽃이다.
 

긴 세월 남포의 갈대꽃 
바다 문에 흰 빛 내어 어부의 집 묻혔네 
변두리의 빼어난 감상은 인위가 없는데 
소금과 생선 장수가 함부로 자랑을 하네   

南浦千年蘆荻花(남포천년노적화)
海門生白沒漁家(해문생백몰어가)
荒陬勝賞無人管(황추승상무인관)
塩客魚商浪自誇(염객어상낭자과)

   
<이종기, 남포노호(南浦蘆花)>  


▲ 옛날 조만강을 거슬러 올라온 배들이 정박하던 남포어장 일대. 지금은 농지로 바뀌어 넓었던 갈대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천 년 세월을 피었다가 지고 졌다 피어난 갈대꽃은 바다가 시작되는 곳으로부터 하얀빛을 뿌려 온 마을을 뒤덮고 있다. 이렇듯 아름다운 남포의 갈대꽃과 같은 풍경은 사람이 어찌할 수 없는 것인데, 소금장수 생선장수 등 남포 어장을 찾은 사람들은 갈대꽃이 핀 아름다운 남포의 풍광을 자신들과 관계가 있는 양 자랑하기에 정신 없다. 당시 남포의 갈대꽃 핀 풍경은 남포지역 뿐 아니라 드나드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큰 자랑거리였던 것이다.

남포의 갈대꽃 서리 내리고 나니
저녁 물가의 갈매기와 해오라기 줄 짓지 않네
다시 오겠다 호숫가 사는 벗과 함부로 약속하고
가을바람 달빛에 배 띄우려하네  

南浦蘆花已著霜(남포노화이저상)
晩汀鷗鷺不成行(만정구로불성행)
重來倘約湖邊伴(중래당약호변반)
料理秋風月一航(요리추풍월일항)

   
<조긍섭, 駕洛懷古>  


조긍섭(曺兢燮·1873~1933)이 시에서 표현한 시간은 갈대꽃에 서리가 내리고 어두워진 뒤라 새들도 잠든 때였다. 스산해 보이기도 하는 풍경이지만 반드시 다시 오겠다고 김해에 사는 벗과 약속하는 그의 태도에서 그가 얼마나 김해 남포의 아름다움에 감동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엄경흠 부산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