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어산(神魚山)은 신령스러운 물고기 모양을 그린 쌍어문(雙魚紋)에서 그 이름이 기원했다고 하고, 이 쌍어문은 허왕후가 인도에서 파사탑(婆娑塔)과 함께 들여왔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당시에 이미 불교가 한반도 남부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기도 하다. 사실이야 어떻든 신어산은 많은 불교 전설을 안고 있으니, 불교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증명이나 하듯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감로사(甘露寺)·금강사(金剛社)·구암사(龜庵寺)·십선사(十善寺)·청량사(淸 寺)·이세사 (離世寺) 등 신어산의 불교 사찰이 많이 언급되어 있는데, 전란에 무너지고 사라진 상황이 너무나 많아서였는지 은하사(銀河寺)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에 대한 언급은 이학규(李學逵·1770~1835)가 읊은 다음의 두 시에서 잘 보인다.


성의 북쪽 은하사
층대에 달빛이 비친다 

城北銀河寺(성북은하사)
層臺月色分(층대월색분)

   
<이학규, 기서림선정유탄이상인(寄西林仙正留坦二上人)>  

 

골돌 연기 없이 등불 심지 더디 타고
은하사 누각에선 꿈이 고르지 않구나  

榾柮無煙燈燼遲(골돌무연등신지)
銀河樓閣夢參差(은하루각몽참치)

   
<이학규, 야숙서림사탄공방(夜宿西林寺坦公房)>  


▲ 은하사 뒤편에서 바라본 대웅전과 깊어가는 가을 풍경. 허왕후가 김해로 올 때 수로왕이 전각을 장막으로 바닷가에 치고 그녀를 맞이했으며, 이 절을 지어 복이 내리기를 기원했다고 전한다.
제목에는 서림사라고 쓰면서 내용에는 은하사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학규는 다른 시에서도 은하사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니, 정식 사찰명은 서림사일지라도 일상적으로 부르기는 은하사라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전설에 따르면 허왕후의 오빠 장유화상(長遊和尙)이 서역의 인도에서 와 서녘 서(西)자의 서림사를 창건하고, 이어 오른쪽 곁에 동녘 동(東)자의 동림사(東林寺)를 지었다고 한다. 지금도 은하사와 동림사는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이학규도 '서림사의 선방(禪房·승려들이 참선하는 방)을 다시 수리한 기록'이라는 뜻의 '중수서림사선방기(重修西林寺禪房記)'에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 18년(42년) 가락국의 수로왕이 옛 토성(土城)의 동쪽 신어산 기슭에 서림사(西林寺)를 창건하였는데, 세 개의 불전(佛殿·불당)과 일곱 개의 승료(僧寮·승방) 및 영구암(靈龜庵)이었다. 절은 여러번 병란을 겪고 지금까지 1800년을 지나면서 너덧 번의 공사를 하였다'고 하였다.
 
1800년대 초기의 <김해읍지>와 지도에 보면 신어산에는 서림사가 있고 바로 옆에 구암(龜菴)이 있고, 지금 은하사와 동림사의 위치와도 일치한다. 더욱 상세한 기록은 1911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펴낸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의 것인데, 그래도 창건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연혁은 잘 알 수가 없다. 은하사는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1644년(인조 22년)에 중건되었고, 1688년(숙종 14년)에 십육전(十六殿)의 16나한상을 조성하고 1753년(영조 29년) 법고(法鼓)를 조성하였으며 1761년(영조 37년)에는 시왕전(十王殿)을 중수하였다고 한다. 1797년(정조 21년)에는 취운루(翠雲樓)를 새로 세우고, 1801년(순조 1년)에 대웅전을 새로 세웠으며, 1803년(순조 3년)에 다시 사찰을 수리하고, 1812년(순조 12년)에는 승당(僧堂)과 취운루를 다시 수리하였다고 한다. 1831년(순조 31년)에 사찰을 다시 수리하고, 1835년(헌종 1년)에 대웅전의 관음보살상에 다시 금을 입히고, 후불탱(後佛幀·부처를 그려 불당 뒤편에 거는 그림)을 조성하였고, 1861년(철종 12년)에 대웅전을 새로 지었으며, 1866년(고종 3년)에는 청량암(淸凉庵)을 새로 수리하였고, 1892년(고종 29년)에 사찰을 새로 수리하였으며, 1904년(광무 8년)에 대웅전의 후불탱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1904년에는 대웅전의 후불탱화를 조성하였으며, 1932·1938·1948년에도 절이 새로 수리되었다고 하고, 1970년대에는 대성(大成)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30여년 간 낡은 전각들을 보수하고 도량을 정비하여 현재의 가람을 이룩하였다고 한다. 현존 절 건물로는 서림사라는 편액이 붙어 있는 화운루(華雲樓)를 들어서면 대웅전이 있고, 대웅전 왼쪽에는 설선당(說禪堂) 오른쪽에는 명부전(冥府殿)과 종각(鐘閣)이 있다. 또, 대웅전 뒤편 왼쪽에는 응진전(應眞殿)과 두 동의 요사채가 있고 오른쪽에는 산신각(山神閣)이 있으며, 오른쪽 아래에는 현대식으로 지은 객사가 있다. 근래에는 '달마야 놀자'라는 영화를 촬영한 곳으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이제 조선조 후기와 말 김해에서 읊은 이학규와 허훈(許薰·1836~1907)의 시를 통해 당시의 은하사를 상상해보자.

바른 생각 헤아림 없이 세월을 보내더니
귀의해보니 봄이라 두루 신선 사는 곳이네
십팔년 동안 가락의 나그네 되었더니
세 번 지팡이 짚고 취운루 가에 왔다네 

定知無計送餘秊(정지무계송여년)
隨喜煙花徧洞天(수희연화편동천)
十八秊來駕洛客(십팔년래가락객)
拄筇三度翠雲邊(주공삼도취운변)

   
<이학규, 서림사(西林寺)>  


▲ 은하사 대웅전으로 오르는 돌계단. 옛 시인들은 취운루의 아름다움에 빠져 흥취를 시구로 다수 남겼다.
시인은 시에다 '절의 누각 이름이 취운루(사루명취운(寺樓名翠雲)'이라는 설명을 붙여 이 시가 취운루를 읊은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취운루는 앞의 기록에서 보듯이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세우고 수리하는 등 참으로 공력을 많이 들인 누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참됨을 거스르지 않는 생각을 해보려고는 하지도 않고 허송세월 하다가 은하사의 취운루에 오르면 진정으로 부처에 귀의한 듯, 신선의 세계에 다가온 듯하다는 표현에서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당시 은하사 취운루의 아름다움에 빠진 시인의 흥취를 알 수 있다. 취운루는 이학규뿐만 아니라 시인이라면 소재로 삼을 수밖에 없었던 듯 50여 년 후의 허훈 또한 여기에서 시를 읊고 있다.


금빛과 푸른빛 다락 비갠 경관 맑구나 
앉았노라니 거의 신선 세계 같아라 
궁궐 같은 전각 한가하니 전쟁 지난 곳이요 
처마의 제비 돌아오니 장막 쳤던 그해로다 
고목에 구름 걸리니 신라대 비취빛이요 
텅빈 못 달빛은 둥글기 한나라 때 같아라 
눈동자 굴리다 다시 물빛 아득하다 느꼈더니 
한 줄기 은하수가 아득하구나   

金碧高樓霽景鮮(금벽고루제경선)
坐來渾若十洲仙(좌래혼약십주선)
銅龍已冷經戈地(동룡이랭경과지)
檐鷰初回設幔年(첨연초회설만년)
古樹雲餘羅代翠(고수운여나대취)
空潭月似漢時圓(공담월사한시원)
流眸更覺波光遠(류모경각파광원)
一道銀河去杳然(일도은하거묘연)

   
<허훈, 취운루차판상운(翠雲樓次板上韻)>  


허훈은 특히 시 뒤에 주를 달아 '절의 기록을 보면, 허왕후가 처음 올 때 수로왕이 전각을 장막으로 바닷가에 치고 그녀를 맞이하였고, 마침내 이 절을 지어 신에게 제사를 지내 복이 내리기를 기원하는 곳으로 삼았다고 한다. 우리 선조(宣祖) 임금 때 섬 오랑캐들이 지른 불에 타서 다시 수리하기가 어려웠다. 지금 수백 년이 흘러 절 건물이 무너졌으니 매우 애석하다'고 하고 있다. 앞의 기록에서 보듯 여러번 절을 새로 짓고, 수리를 하였으나 또 다시 훼손되기를 반복하였던 은하사의 안타까운 모습을 본 시인의 답답함이 묻어난다. 더구나 자신의 선조인 허왕후를 위한 절이었다는 전설을 알고 있는 시인에게는 더욱 안타까웠으리라. 그래도 이 당시 취운루는 건재하였던 듯 시인은 금빛과 푸른빛으로 단청이 선명하고, 고요하며 평온한 당시의 풍경과 김수로왕과 허왕후 당대에 은하사를 지었다는 이야기를 다시 떠올리며 물결인 양 은하수가 한 줄기 하늘 가로 이어지는 밤늦은 시간까지 감상에 젖어 있다.


철쭉꽃 지는 산속 달은 둥글고
선방이 멀리 구름 속에 가렸네
노승이 방울 울려 시각을 전하니
나그네가 주렴 사이로 밤하늘을 본다
고요한 절 지붕 위 새끼 꿩 울음 듣고
높은 나무가 처마 앞에 닿은 걸 알았네
은하사 누각 가 시를 짓던 곳
맑은 꿈 그리웁긴 지난 날과 한가지로다  

躑躅花殘山月圓(척촉화잔산월원)
禪堂迢遆絶雲煙(선당초체절운연)
老僧擊鈸傳更漏(노승격발전경루)
宿客鉤簾看夜天(숙객구렴간야천)
靜聽子雉啼屋上(정청자치제옥상)
始知喬木到櫩前(시지교목도염전)
銀河樓畔題詩處(은하루반제시처)
淸夢依依似往秊(청몽의의사왕년)

   
<이학규, 야숙서림사돈공방(夜宿西林寺頓公房)>  


▲ 1800년대 초 신어산 주변. 신어산(神魚山)의 남쪽에 지금의 은하사(銀河寺)인 서림사(西林寺)가 있고, 바로 왼쪽에 말사인 구암(龜菴)이 있다. 오른쪽에 있어야 할 동림사(東林寺)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서, 이때는 동림사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였던 듯하다.
밤에 서림사에서 자면서 읊은 시다. 늦은 봄 포근하고 조용한 은하사의 분위기가 달빛과 노승의 방울, 새끼 꿩 울음소리 등에서 잘 느껴진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시인의 마음 속에는 맑은 꿈을 그리는 세속적 마음이 남아, 은하사의 고요한 선적 분위기와는 다른 혼란으로 잠들지 못하고 있다.


산문엔 눈 내리는데 이제 지나가나니 
억겁의 아득함이야 어떠할는지 
한대의 시절 너무나 빨리 지나갔구나 
수로왕 패기가 썰물처럼 사라져버렸네 
섬돌 덮은 늙은 대나무 오랜 풍상 겪었고 
골짝에 누운 장송은 세월 많이도 겪었네 
남은 승려들만 부지런히 부처를 지키니 
한밤중 범패가 노래 소리 같구나   

山門衝雪此經過(산문충설차경과)
浩劫茫茫竟若何(호겁망망경약하)
漢代年光流石火(한대연광류석화)
金王覇氣落潮波(김왕패기낙조파)
侵堦老竹風霜古(침계노죽풍상고)
臥壑長松歲月多(와학장송세월다)
惟有殘僧勤護佛(유유잔승근호불)
中宵梵唄響如歌(중소범패향여가)

   
<허훈, 서림사(西林寺)>  


이학규가 은하사의 분위기와 자신의 감정에 시의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면, 허훈은 김해 허씨의 후손답게 가락국 유물로서의 은하사를 주로 읊고 있다. 특히 이 시의 마지막 구절에서 절이 황폐해지고 승려들도 많지 않은 은하사의 분위기를 그는, 승려들이 부르는 불교 노래인 범패가 마치 보통의 노래 소리 같다는 표현으로 대신하고 있다.






엄경흠 부산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