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문제점과 풀어야 할 과제

환자나 가족이 일일이 등록 안해
추정치는 점차 늘어나는 데 반해
정확한 숫자는 집계조차 어려워

■ 김해의 추정 치매환자 3천924명
치매환자는 일일이 등록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수를 정확히 집계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전체 65세 이상 인구 중 보건복지부가 정한 치매 유병률(9.39%)에 따라 치매환자 수를 추정할 뿐이다.
 
김해시보건소에 따르면 지난해 김해의 65세 이상 인구는 4만 1천790명. 치매 유병률에 따른 김해의 치매환자 추정 수는 3천924명이다. 추정 치매환자는 2011년 3천446명, 2012년 3천603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실제 등록 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김해시보건소에 등록된 치매환자 수는 2천766명이다. 지난해에만 997명이 새로 등록했다. 등록자를 뺀 나머지 2천927명에 대해서는 실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치매노인 수가 증가하면서 가출 신고 건수도 해마다 늘고 있다. 경남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김해의 치매노인 가출 신고 건수는 총 55건이었다. 2011년에는 39건, 2012년에는 41건이었다.

▲ 그래픽=박나래 skfoqkr@

시보건소 전담인력 고작 3명 불과
환자 고유번호 인식표 관리도 부실
지자체에서 무료로 경증환자용 GPS 보급
돌봄센터 건립 등 보다 실질적인 대책마련 필요

■ 인력난·노인 비협조로 치매 관리 애로

김해시의 치매노인 관리는 김해시보건소 건강증진과와 김해한솔요양병원에서 맡고 있다. 두 기관은 읍·면·동별 경로당 245곳을 방문해 '찾아가는 치매 조기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1만 1천278명이 조기검진을 받았다. 조기검진자 중 치매 의심자는 도립김해노인전문병원과 김해한솔요양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는다. 지난해에는 치매의심자 217명 중 146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치매 진단을 받은 어르신은 김해시보건소 치매상담센터에 치매환자로 등록돼 관리된다. 4인 가족 기준 전국 월 평균소득 480만 원 이하 가정의 치매환자에 대해서는 치매 치료·관리비로 매달 3만 원씩 지급된다.
 
김해시보건소는 올해부터 치매노인들을 위한 복지서비스로 '경증 치매노인 활동 보조사업'을 시작했다. 김해시보건소 치매상담센터에서 직무교육을 이수한 어르신 20명이 60세 이상 경증치매 독거노인들 중 전국 월 평균소득 이하의 가정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매주 3회 하루 3시간 씩 한 달에 36시간을 봉사하는 것이다.
 
김해시보건소는 인력난과 어르신들의 비협조로 치매 관리에 애를 먹고 있다. 김해시보건소의 치매환자 전담인력은 건강증진과 직원 1명과 치매상담센터 직원 2명이 고작이다. 인력난에 시달리다보니 치매환자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한 요양병원 관계자는 "보건소 인력이 적다보니 경로당 등을 돌며 치매검진을 하는 데 그친다. 독거노인 등의 경우 치매검진조차 못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어르신들은 치매 조기검진을 받으러 보건소에 오는 경우가 드물다고 한다. 김해시보건소 건강증진과 관계자는 "대부분의 어르신들은 암보다 치매에 대한 공포가 더 크다. 치매환자로 등록하면 인지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진행 속도를 5년가량 늦출 수 있다. 하지만 치매 조기검진을 위해 보건소를 방문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 GPS 보급, 경증치매환자센터 필요
10년 전 교직에서 퇴임한 김 모(74) 씨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고 있는 경증 치매환자다. 그는 가끔 과거의 기억에 따라 부산 영도 등 집 밖으로 나가는 돌출 행동을 했다. 김 씨가 집 밖으로 나가는 일이 잦아지자, 가족들은 30만 원을 들여 GPS(위치추적장치)를 구입해 그의 몸에 달았다. 지금은 김 씨가 무단 외출하더라도 가족의 걱정은 다소 줄어들었다.
 
▲ 일러스트=김정은 kimjjung@
김해시보건소 치매상담센터는 등록된 치매환자 중 배회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중앙치매센터의 고유번호를 부여해 인식표를 배부한다. 하지만 경찰은 "인식표는 무용지물"이라며 김해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경증 치매환자에게 GPS 등을 무료로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해중부경찰서 아동청소년과 관계자는 "경증 치매환자가 가출할 경우 인식표를 갖고 있더라도 무용지물이다. 부산 등 다른 지역에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치매환자의 동선 파악이 힘들어 찾기가 쉽지 않다. GPS 보급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시보건소 관계자는 경증 치매환자를 돌볼 수 있는 센터가 김해에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보건소 건강증진과 관계자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처럼 치매환자도 병의 진행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보호·관리 받아야 한다. 중증 치매환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 가입하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경증 치매환자는 그 혜택에서 제외돼 모든 부담을 가족이 지게 된다. 경증 치매환자를 돌볼 수 있는 경증치매환자센터가 지역별로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해시보건소, 도립김해노인전문병원, 김해한솔요양병원에서는 경증치매환자와 인지기능이 저하된 60세 이상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인지향상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김해시보건소 건강증진과 관계자는 "인지향상을 위해 두뇌를 자극하는 두뇌인지건강훈련, 미술치료 등 인지향상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경증 치매노인의 경우 치매 진행 속도를 더디게 하고, 인지기능이 저하된 어르신들의 경우 치매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해뉴스 /김예린 기자 beaurin@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