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가 지난달 30일 보도자료를 냈다. 김해시가 ㈜신세계백화점과 상생협약을 체결했다는 내용이었다. 김해시는 양해각서도 첨부해 두었다. 기자는 양해각서를 읽으면서 "김해시가 시민들을 '바보 천치'로 여기는구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상생협약'의 내용이 가관이었기 때문이다. 내용을 살펴보자.
 
첫 번째 조항. '김해여객터미널의 조기 개장을 위해 신세계는 터미널 조성 공사에 최선을 다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공사가 지연됐을 때 재정적 손해를 보는 곳이 어디인가. 다름 아닌 신세계다. 신세계는 터미널 조성공사에 박차를 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두 번째는 '김해 시민의 고용 안정을 위해 신세계백화점은 1천500명의 신규인력에 대해 김해 시민을 우선 채용한다'는 내용이다. 신세계백화점에서 일할 인원은 2천 명이라고 한다. 이 중 75%가량을 김해 시민들로 채우겠다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다. A마트 김해점의 경우 총 400명의 직원 중 350명이 김해 시민이다. A마트 지점장은 "일부 파견 경영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김해 시민들을 채용하고 있다. 채용 대상이 상품판매자나 주차요원 등이어서 굳이 다른 지역 사람을 데려올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세 번째는 '김해여객터미널과 백화점 공사를 할 때 김해지역의 시공업체 및 자재를 최대한 활용하며, 김해시에서 생산된 특산물을 홍보하고 판매장소를 제공한다'는 내용이다. 이 역시 지자체들이 백화점 같은 대형 상업시설을 허가할 때 의례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에 불과하다. 네 번째는 '신세계는 백화점 내에 문화센터를 설치하고 경전철 고객을 우대한다'는 내용인데, 하나마나한 이야기다. 김해시의 요구가 아니더라도 백화점들은 문화센터를 운영하게 돼 있다. 백화점들은 고객 유치를 위해 다들 그렇게 하고 있다. 경전철 운운도 말장난에 불과하다. '경전철을 타고 백화점을 방문해 물건을 구입한 고객 중 요청자에 한해 경전철 승차권을 제공한다'는 것인데, 메가마트 김해점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이다.
 
시간을 되돌려보자. 지난해 7월 신세계백화점 입점 탓에 위기감을 느낀 외동전통시장 상인들은 시청 앞에서 삭발을 해가며 건축 허가에 반대했다. 상인들은 최소한 자신들과 신세계가 상생협약만이라도 맺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시에 요청했다. 하지만 시는 이를 외면한 채 건축허가를 내줬다. 지금까지도 외동전통시장과 신세계와의 상생협약은 체결되지 않은 상태다. 심지어 몇몇 상인들은 올해 초부터 점포를 내놓고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해시가 느닷없이 빈 깡통 같은 '상생협약'을 자랑스레 내밀었으니 이런저런 말들이 나오는 건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한 시민은 "김맹곤 시장의 선거용으로 의심되는데, 공무원들의 줄서기나 관권개입 차원에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해뉴스 /김명규 기자 kmk@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