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교육연대는 지난해부터 안전한 학교 만들기 캠페인의 하나로 지역 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의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김해교육연대는 김해양산환경연합, 김해여성의전화, 김해아이쿱생협 등 지역의 12개 시민단체가 연대해서 만든 조직이다. 김해교육연대는 올해도 지난달 말부터 56개 초등학교의 어린이보호구역 현장 조사를 벌이고 있다. 스쿨존 현장 조사는 현재 50% 정도 이뤄진 상태다. 지난 12일 김해 곳곳에서 실시된 어린이보호구역 현장 조사를 동행 취재했다.

학교 앞 횡단보도 대부분 위치 선정 잘못
하교 시간 교통지도 없고 CCTV도 부족
학부모·학원차량 통제 등 안전확보 시급


지난 12일 구산동 구산초등학교 앞.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정문으로 쏟아져 나왔다. 어린이보호구역의 차량 제한속도는 30㎞이지만, 자동차들은 학교 앞을 쌩쌩 지나갔다. 한 학생은 차에 신경쓰지 않고 앞만 보고 도로를 뛰어 건넜다. 학교 앞 어디에도 하교를 지도하는 학교 관계자는 보이지 않았다.

구산동 구지초등학교 정문 앞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됐다. 구지초의 어린이보호구역은 인근 구산중학교 정문~동원아파트 정문의 약 265m 구간이다. 어린이보호구역의 끝지점은 구산중 정문과 동원아파트 정문이다. 차량과 사람의 이동이 잦은 곳이다. 구지초 인근의 횡단보도는 학교 정문에서 약 65m 떨어진 사거리에 있다. 그래서 학생들은 수시로 학교 앞 도로에서 무단횡단을 하고 있었다. 횡단보도의 파란불 신호는 고작 10초에 그쳤다.

▲ 김해교육연대 관계자가 스쿨존 실태 조사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

하교 시간이 되자 구지초 정문 앞 도로 양쪽에 학생들을 데리러 온 학원차량들이 들어섰다.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주·정차를 할 경우 다른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 교통사고 확률이 높다. 하지만 학원차량들은 깜박이를 켠 채 10분 넘게 불법 주·정차를 했다. 이를 제지하거나 학생의 하교를 지도하는 학교 관계자는 보이지 않았다. 구지초 정문에서 구산동 동원아파트로 이어지는 길목 횡단보도에서 한 어르신이 그나마 교통지도를 하고 있었다.

현장조사에 나선 김해아이쿱생협 김세록 이사장은 "자동차가 달려올 때 저학년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하면 교통지도를 하는 어른이 잡아줘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교통지도를 하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동작이 느린)60대 이상의 어르신들"이라고 지적했다.

구지초 정문에서 후문까지 연결되는 구간에서는 보행로를 찾아볼 수 없었다. 후문 앞 곳곳에는 주·정차된 차량이 많아 후문에서 갑자기 저학년 학생들이 튀어나올 경우 교통사고가 날 위험성이 높아 보였다. 김해아이쿱생협 이현주 이사는 "구지초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보행 안전이 많이 개선됐다고 말한다. 하지만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크게 변한 게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대부분의 학교들은 어린이보호구역을 학교 정문 일대로만 생각한다. 하지만 저학년들은 항상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후문까지 이어진 도로에도 보행로를 설치해 학생들의 보행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지초 일대에 설치된 CCTV는 한 대뿐이었다. 김 이사장은 "교통사고가 났을 때 어린이의 증언은 증거로 채택되지 않는다고 한다.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CCTV 설치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 김해아이쿱생협 김세록 이사장과 이현주 이사가 지난 12일 구지초등학교 앞 보행로 폭을 재고 있다.

삼계동 분성초등학교에서 어린이보호구역 현장 조사에 나섰다. 분성초의 횡단보도도 정문에서 아래쪽으로 30m 떨어져 있었다. 그래서인지 학생들은 횡단보도로 건너지 않고 정문에서 무단횡단을 했다. 이 이사는 "저학년들은 길을 건널 때 좌우를 살피지 않고 무작정 앞만 보고 건넌다. 횡단보도가 정문이 아닌 아래쪽에 있다 보니 학생들이 수시로 무단횡단을 한다. 학교 정문에 횡단보도와 신호등이 설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불법 주·정차도 문제였다. 이 이사는 "비가 오는 날이면 학부모들이 등·하교를 위해 학교 정문 앞에 차를 댄 채 아이를 내리거나 태운다. 학교 앞 도로를 일방통행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성초는 구지초에 비해 CCTV, 보행로 등이 비교적 잘 확보돼 있었다.

김 이사장은 "어린이보호구역 관련 교육을 받기 전까지는 어린이보호구역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잘 몰랐다. 시민, 학부모들이 적극 나서서 자녀들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뉴스 /김예린 기자 beaurin@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