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16일 국민일보가 인터넷판에 이런 내용을 보도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서울대병원을 방문했을 때 병동 벽에 '살려야 한다'는 문구가 담긴 A4 용지가 붙었다. 이것을 놓고 네티즌들 사이에서 '설정' 논란이 있다." 그런데 우연의 일치(?)인지 보도 직후 정부가 집행한 메르스 관련 공익광고 대상에서 국민일보가 제외됐다.

여러 언론과 언론단체에서는 당장 '정부의 보복', '광고 갑질'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언론노조는 "정부 대처를 꼬집는 언론을 배제하겠다는 것은 과거 1970~1980년대식의 비판적인 기사에 대한 광고 탄압이 아니고 뭐냐"고 비판했다. 보수언론으로 분류되는 동아일보도 사설에서 "청와대가 기사에 대한 보복으로 국민일보에만 광고를 못하게 했다면 졸렬하다. 권위주의 시절 언론을 통제하려 했던 '광고 탄압'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등도 비슷한 기사나 칼럼을 게재했다.

이런 류의 일은 정부 차원에서만 있는 것일까. 지난 8일 김해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의 김해시 홍보담당관실 행정사무감사 현장을 한번 보자.

한 시의원이 "올해 홍보담당관실의 광고 집행 내역을 보면 다른 일간·주간신문은 물론 인터넷매체에 까지도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광고를 했다. 그런데 김해의 대표적인 신문인 <김해뉴스>에는 한 푼도 배정하지 않았다. 이유가 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홍보담당관실 관계자는 "늘 시정에 부정적인 시각으로 접근하는 신문사에게 광고를 줄 수는 없는 것 아니냐"라고 천연덕스럽게 대답했다. 

충격적인 발언이 아닐 수 없었다. 세금으로 먹고 사는 공무원이 사석도 아니고  시의회의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당당하게 사심이 개입된 '광고 갑질'의 정당성을 강변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문득 2년여 전 김해시 홍보 담당자가 한 말이 오버랩 됐다. 당시 기자는 한 시의원의 주선으로 그와 저녁자리를 가졌다. 그는 어느 순간 이렇게 말했다. "기자들은 광고 하나 주면 다 해결할 수 있지." 자리를 주선한 시의원의 체면을 생각해서 조용히 넘어갔지만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상황이었다.

이 두 가지 사례를 놓고 본다면 이런 해석이 가능해질 것 같다. 김해시 홍보담당관실의 그릇된 언론관은 개인적 문제에서 비롯된 게 아니다, 라는. 

아닌 게 아니라, '국민일보 사태' 때 한국기자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광고 취소 이유에 대해 '혹시 BH(청와대)와 불편한 일이 있었느냐'고 물었다는 정부 고위 관계자의 말은 광고탄압의 주체가 누구인지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김해시 홍보담당관실도 누군가로부터 똑같이 압력을 받고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과잉충성을 한 것일까?

김맹곤 시장과 홍보담당관실 관계자들에게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한 말을 전하고 싶다. 그는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의 '광고 갑질'에 대해 이렇게 지적했다. "(광고 갑질은)정부 입장에서 긍정적 보도를 해주는 언론사에 당근을 줘 계속 유리한 보도를 하게 만들려는 것이다. 과거 군부시대에는 물리적으로 언론사를 탄압했다면 지금은 합법적인 방식으로 언론사를 길들이고 있다. 국민 세금을 통해 언론을 길들이는 행태는 국민 위에 군림하려는 독선적인 태도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