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모난 연못 가운데 연화사 대웅전이 세워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에 함허정이 있었다.


정현석 ‘금릉팔경’에 연자루 등 3곳 포함
정몽주·맹사성 등 방문해 시구 읊기도

세월 흘러 사라지고 지금은 연화사 위치
사찰 입구부터 조선·가야시대 흔적 즐비

함허정 있던 대웅전 앞 돌다리 ‘함허교’
기둥 받치던 주춧돌 돌고돌아 원위치로



 

▲ 객사 후원지 뒤뜰에 깨어진 불암이 있다.

친구 등이 김해를 찾아오면 꼭 소개시켜 주는 김해의 랜드마크는 어디일까. 수로왕릉, 봉하마을, 가야테마파크 등 여러 유적지와 관광 명소일까. 지금은 잊혀졌지만, 조선시대에 사람들이 김해에 오면 반드시 거쳐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동상동에 있는 '김해객사 후원지'다.
 
객사는 외국 사신, 중앙 관료들의 숙소다. 그래서 이런 사람들이 김해에 오면 당연히 객사를 찾을 수밖에 없었다. 김해객사 후원지는 객사에 있었던 아름다운 후원이다. 고려·조선 시대에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너나할 것 없이 후원지에 매료됐다고 한다. 조선 고종 때 김해부사였던 정현석은 김해에서 경치가 빼어난 '금릉팔경'을 골랐다. 그 중 연자루 전경, 함허정 연꽃, 호계천 노을 등 3곳이 바로 객사 후원지에 있었다. 고려시대 충신 정몽주, 조선시대 학자 맹사성 등이 객사 후원지에서 읊었다는 시구도 많이 전해 내려온다. 조선 중기 문장가인 박홍미는 객사 후원지를 바라보며 이렇게 시를 지었다.
 
'서울과 김해에 사귀어 논 20년/ 중간에 모이고 흩어짐이 구름과 연기 같아라/ 고개와 바다를 한 번 쳐다보니 청명이 열려/ 오랜 세월동안 넓고 넓은 땅에 끊어진 거문고 줄을 이은다/(중략)/ 조즙 의장을 거느리고 한나절 한가로움을 즐기니/ 함허정 맑은 경치는 옛 금관의 땅이라/ 연못에 비가 빠르니 붉은 꽃잎이 떨어지고/ 대밭 층계에 바람이 가벼우니 벽옥이 차다.'
 
연못에 배를 띄우고 풍류를 즐겼다는 객사 후원지는 의외의(?) 장소에 있다. 펄떡이는 생선, 푹 삶은 족발, 바삭하게 튀긴 튀김, 얼큰한 칼국수가 넘쳐나고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는 동상동 김해재래시장 바로 옆이다. 김해객사 후원지가 있었던 자리에는 지금은 '연화사'라는 절이 있다. 상인들에게 "연화사가 어디냐"고 물으면 금방 길을 안내한다. '열 십(十)'자 모양으로 된 김해재래시장의 한 가운데에서 동상동주민센터로 가는 길에 있다.
 

▲ 일제강점기 당시 연자루 전경(왼쪽), 객사 후원지에 있었던 분성관.

시장 골목이 끝나는 지점에 연화사라고 새겨진 바위가 눈에 들어온다. 연화사의 전신은 일제강점기 때 세워진 '김해불교 포교당'이다. 이 건물은 1970년 화재로 소실됐고, 1975년 '연화사'라는 이름으로 다시 세워졌다. 그보다 훨씬 이전, 가야 시대에는 '호계사'라는 절이 있었다는 전설도 있다. 그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게 바로 '파사석탑'이다.
 
파사석탑은 지금은 구산동 수로왕비릉에 있지만, 과거에는 김해객사 후원지에 있었다고 한다. 파사석탑이 곳곳에 흩어져 있었던 것을 1873년 정현석이 모아 왕비릉으로 옮겼다. 아직까지 남아 있는 일제강점기 당시의 사진을 보면 지금과 조금 다른 모양으로 흩어진 파사석탑 조각을 회칠해 세워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 허왕후(허황옥)가 가져온 파사석탑의 모습은 남아 있지 않고, 여러 전문가들이 인도탑 등을 참고해 원형에 가깝게 지금의 모습으로 세웠다고 한다.
 

▲ '가락고도궁허'라고 새겨진 객사 후원지의 비석.

연화사에 들어가면 조선시대와 가야시대의 흔적을 먼저 볼 수 있다. 입구에서 좌측으로 계단을 올라가면 '분성대'가 나온다. 그 옆 소사나무 뒤편에 '가락고도궁허(駕洛古都宮墟)', 즉 '가락 옛 도읍의 궁터'라고 적힌 비석이 보인다. 비석에는 1928년 후손 김문배가 세웠다고 적혀 있다. 비석 뒤편에는 '분성대'라는 글씨가 선명하다. 이 비석 때문에 객사 후원지가 가야시대 왕궁터 후보로 거론돼 왔다.
 
사실을 밝히기 위해 김해시는 2007년 발굴 조사를 벌였다. 그러나 조선시대 및 근·현대의 분청자기편과 명문기와편 등만 출토됐을 뿐 가야시대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회현동주민센터 인근의 가야시대 왕궁터 추정지에서 4~5세기 것으로 보이는 토성의 흔적이 발견돼 왕궁이 있었을 것이라는 데에 힘이 더 실리게 됐다. 대신 객사 후원지는 허왕후가 살던 중궁터라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비석 옆 부처의 진신사리가 들어있다는 7층 석탑 건너편에 연화사의 대웅전이 보인다. 연못 위에 세워진 특이한 건물이다. 네모반듯한 석축으로 둘러싸인 연못 위에 붉은 계단, 청색 문, 2층 높이의 대웅전이 파란 하늘과 조화를 이룬다. 경복궁의 경회루를 떠올리게 한다. 연못에서는 매년 7~8월이면 아침마다 뽀얀 연꽃이 피어오른다고 한다.
 
대웅전이 있던 자리에는 원래 연희 장소였던 함허정(涵虛亭)이 있었다. 함허정은 '적실 함'과 '빌 허'를 쓴다. 여기서 '허'는 하늘은 뜻한다. 결국 '하늘을 적신다', '하늘을 담는다'는 뜻이다. 대웅전 1층으로 들어가려면 돌다리를 건너야 한다. 다리 앞에는 아직도 함허교(涵虛橋)라는 한자가 선명하게 적혀 있다.
 

▲ 연자루 기둥을 받치던 주춧돌.

대웅전과 마주보는 곳에는 나무로 된 큰 문이 있다. 객사 후원지에 있던 '연자루'로 향하는 문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문이 닫혀 있다. 문 바로 뒤에는 동상동전통장의 칼국수타운이다. 지금 연자루는 없어졌다. 1820년대 제작했다고 전해지는 '김해부내지도'와 일제강점기 때 촬영했다는 유리건판 필름에서 연자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연자루의 기둥을 받치던 주춧돌도 아직 연화사에 남아 있다. 높이 122㎝, 상단둘레 216㎝, 하단둘레 227㎝ 크기의 석주 1개다. 오랜 세월 동안 여기저기를 돌다 다시 제자리로 복귀했다고 한다. 조은주 김해문화관광해설사는 "연자루 전경은 금릉팔경에 들어갈 만큼 아름다웠다고 한다. 그 규모가 얼마나 웅장했던지 연자루에서 불암동이 훤히 보였다고 전한다"고 설명했다.
 
대웅전 뒤편으로 가는 우측 담장은 김해내부지도에 나타난 옛 모습 그대로다. 대웅전 뒤에는 함허정의 연못을 가득 채우는 물이 내려오는 물길과 여러 조각으로 깨어진 '불암'인 미륵불이 있다. 미륵불은 원래 불암동에 있었다. 1972년 고속도로 공사 때 파손됐다. 이 불암 때문에 지역의 이름이 불암동으로 정해졌다. 그런데 정작 불암은 동상동에 있으니 아이러니하다. 최근 불암동에서는 불암을 다시 가져가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한다.
 
김해뉴스 /조나리 기자 nari@gimhaenews.co.kr


▶김해객사 후원지 / 구지로180번길 23-1(동상동 873) 외 2필지.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