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기홍 전 김해교육장

60년대 세계적으로 지지리도 못살던 대한민국이 7,80년대의 한강의 기적을 일으키며 단시간에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여 이제는 선진국의 반열을 넘보는 나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의 일본 전범기업 배상 판결이후 아베 정권의 백색국가 제외 조처로 우리나라의 전자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자, 우리 국민들은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일으키는 등 양국 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업이 이렇게 일본의 영향을 받는 것은 우리나라의 산업화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 기술을 개발하거나 기초과학을 기본으로 한 산업화보다는 일본을 비롯한 선진 외국의 기술을 도입하여 성장하였기 때문이다. 20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는 생산 분업화를 이루어 경제발전을 이루어 왔다.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의 문턱에 다다르면서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서부터 전자 산업에 까지 놀랄만한 성과를 이루었고, 이 과정에서 선진 외국의 기술을 차용하거나 생산 기기나 측정기자재, 고급의 재료들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에 아베 정권이 우리나라를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세계는 20세기와는 확연하게 다른 경제 상황이다. 노동집약적인 생산에서 IT와 접목된 소프트웨어 산업이 지구촌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제 주도산업을 노동집약적 제조업에서 핵심 기술을 가진 제조업이나 독자적 SW기술을 활용한 산업으로의 변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의 지능 정보화 시대를 맞아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SW로 구현할 줄 아는 미래 인재 양성 체계가 절실하다. 미국, 영국 등 세계 주요국들이 컴퓨팅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발 벗고 나선 상황에서 우리나라 역시 개정 교육과정에 초등학생은 5·6학년 '실과' 과목의 일부로 삽입해 17시간 이상 수업을 받도록 했고, 중학교는 '정보' 과목을 선택에서 필수로 전환해 34시간 이상 편성하도록 했다. 하지만 학년별로 수업 시수가 정해진 것은 아니고, 수업 시간 최저기준만 명시돼 학교의 재량에 따라 기준 이상 시간을 배정하여 학교 상황에 맞춰 수업 시간을 채우면 되므로 인재 양성에는 턱없이 시수가 부족하다. 이번에 채택된 정보 교과서 내용은 대부분 ▲정보문화 ▲자료와 정보 ▲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 ▲컴퓨팅 시스템 등 4가지 항목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중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영역 비중이 50%로 늘어났다.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한 내용이 코딩(Coding) 교육이다. 교과과정에 SW 교육이 편입되면서 SW만 잘해도 대학에 갈 수 있는 SW 특기전형도 크게 늘었다. 이와 맞물려 코딩 교육 열풍이 뜨겁다. 입시 위주 교육 시스템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는 한 SW 공교육 편입이 벌써부터 취지가 왜곡되어 사교육 시장만 키우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코딩은 앞으로의 세상을 주도할 SW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방법론이다. 미국, 영국, 중국, 인도 등이 초중고 정규 교육과정에 코딩 교육을 편입한 이유는 코딩 학습으로 문제 해결방식 혹은 아이디어 구상을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사고력 증진을 기대하는 것이다. 코딩 교육을 바라보는 해외와 국내의 인식 차이가 극명하다. 예를 들면 중국과 인도는 외우고, 미국은 놀이를 하고, 강제로 학원에 보내진 우리나라의 아이들은 '코딩'을 싫어하는 것이 현실이다. 2014년부터 코딩 교육을 의무화 시킨 영국은 '코더 양성이 아닌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라는 슬로건을 토대로 체계적인 융합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반면 인도는 미국보다 10배 이상의 코딩 기술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면서도 SW 코딩 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는 세계 IT 강국 중 하나이지만 그 특별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창업주가 없다는 사실은 위 영국 코딩 교육의 슬로건과는 대비되는 양상이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단순히 코딩을 능숙하게 다루는 전문 프로그래머들을 육성하는 것이 아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SW로 구현할 줄 아는 미래 인재 양성이 그 목적이다. 우리나라도 입시에 억매이지 않는 제대로 된 코딩 교육으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인력을 키워내어 21세기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