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취·작열감·미각 변화 등 증상
빈혈·당뇨·카페인 등 원인 다양
수분 섭취 등 생활습관 개선 중요


 
나이든 사람의 불편 중 하나는 입이 바짝바짝 마르는 구강건조증이다.

65세 이상 인구의 40%가 겪을 정도로 흔한 증상이다. 침샘 기능이 떨어지고, 침 분비를 억제하는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취, 구강작열감, 미각 변화 등 불편함을 가져온다.

나이든 사람뿐 아니라 젊은 사람도 구강건조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ℓ의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적게 침이 나오면 입이 마른다고 느끼게 된다. 또는 입으로 숨을 쉬면서 입 안의 수분이 증발되면 주관적으로 구강 건조함을 느낄 수 있다.

원인은 다양하다. 쇼그렌 증후군, 빈혈, 당뇨, 영양소 결핍, 노화 등의 전신적인 원인에 의해 타액의 양이 줄 수 있다. 다양한 약물 복용, 신경계 질환으로 구강 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질환도 침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항암제 투여와 침샘 근처의 방사선 치료는 구강 건조증을 흔히 일으킨다. 수분 섭취 부족, 흡연, 음주, 카페인의 잦은 섭취도 원인이다.

구강건조증이 있으면 음식 맛을 느끼기 어렵고, 씹거나 삼키기 어려워진다. 혀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아 발음도 나빠진다. 혀의 표면이 갈라지는 균열 현상과 통증도 발생할 수 있다.

구강건조증으로 병원에 가면 복용 약이 구강건조를 유발하는 지 확인을 하고, 자가면역질환 같은 원인 질환 확인을 위해 혈액검사를 한다. 침 분비를 유발하는 식품을 먹은 다음에 침이 제대로 분비되는 지 확인하는 침샘 스캔 검사도 한다. 침이 분비되는 통로에 돌이 끼어서 생기는 타석증이 원인일 수 있어 엑스레이 검사를 하기도 한다.

문제는 병원에서 검사해도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안구건조증이 있는 사람이 인공눈물을 사용하듯 인공 타액제를 써볼 수 있다. 침이 좀 더 많이 나오게 하는 약을 쓰기도 하지만 근본 해결책은 아니라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전문의들은 "평소에 수분을 자주 섭취하고 새콤한 과일이나 채소를 자주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뜨겁고 건조한 곳에 오래 있는 것을 피하고, 술과 담배를 줄이는 등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김해뉴스 이경민 기자 min@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