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숨의 장편소설 <떠도는 땅>은 1937년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 17만 명이 화물열차에 실려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사건을 소설적으로 복원한 것이다. 고려인들의 비극적인 디아스포라적 운명을 복원한 노력과 솜씨는 놀라운 점이 있다. 언젠가 써야 할 소설을 쓴 것이고 우리 소설의 시야를 넓힌 것이다. 방대한 양의 자료를 꼼꼼하게 살피고 정리해 완성한 것으로 소설이란 이런 숭고한 작업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듯하다.
 
소설은 한 달여 동안 3.5평의 화물칸에 갇혀 동토의 대륙을 횡단하는 27명의 이야기다. 
 
좁은 화물칸에 한정되기 때문에 당연히 소설의 공간적 배경은 좁다. 그러나 27명 각자가 지닌 디아스포라의 사연은 기구하기 짝이 없다. 소설에는 열차 칸에 갇힌 이들의 숱한 대화와 말들이 채워져 있는데 나중에는 그 각각의 말들이 누구 것인지 흐릿한 의식 속에서 이리저리 뒤섞이고 있다. 소설은 이 부분에 상당히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면서 또한 사건이 벌어진다. 긴 도정 중에 소변이 마렵다며 열차 밑에 들어간 노파는 열차가 급히 출발할 때 못 나와 죽는 사고가 일어난다. 또 엄마 품에서 열병에 시달리던 젖먹이가 죽는 비극도 이어진다. 사람들은 전염병을 무서워해 아이의 시체를 열차 밖으로 던져버리라고 요구한다. 
 
소설 에필로그는 담담하다. 중앙아시아에 도착해서도 죽는 사람은 죽고 산 사람은 산다는 것이다. 한 노인은 낙타 젖을 잘못 먹고 설사병을 만나 죽고, 시계를 매고 다니던 사내는 독사에 물려 죽는다. 반면, 젖먹이를 열차 칸에서 잃었던 부부는 다시 아기를 가진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가운데 새 생명은 계속 이어지는 것이다.              

부산일보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