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연령층·저학력자 소득 감소
고학력자일수록 소득 변화 없어
재택근무 등 일하는 방식 변화도



코로나19에 따른 임금감소가 고용 취약계층인 고연령·저학력자에서 보다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원장 나영돈)이 537개 직업 종사자 1만6244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임금·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38.7%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50.5% △50대 41.6% △40대 35.7% △30대 32% △30대 이하 34.5%가 소득이 감소했다고 밝혀 고연령일수록 소득 감소폭이 컸다. 

학력에 따른 소득 감소도 차이를 보였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46% △대졸 34.4% △석사 이상 21.7%가 소득이 줄었다고 대답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39.9%로 남성 34%에 비해 높았다. 
 
소득 감소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5개 직업은 음식서비스 관리자(100%), 연극 및 뮤지컬 배우(97.1%), 모델(96.8%), 선박객실 승무원(96.8%), 예능강사의 순이었다. 반면 소득이 '증가했다'는 직업은 택배원(63.3%), 가정의학과 의사(60%), 방역원(46.7%), 온라인 판매원(46.7%),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43.3%) 순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업무수행과 재택근무 등으로 일하는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35%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 34.4% △30대 37.7% △40대 36.2% △50대 29.2% △60대 이상 24.9%로 나타나 30~40대가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가장 컸다.
 
일감과 고객 수가 '감소했다'는 응답은 46.3%에 달해 '증가했다'는 답변 6.5%를 크게 앞질렀다. △고졸 이하 54.7% △대졸 46.5% △석사 이상 27.5%가 일감이 감소했다고 응답해 학력차에 따른 일감 감소 폭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 최기성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직업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무수행에서의 대면 필요성과 생활의 필수요소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사무직, 기술 및 기능직 보다 직무수행에서 대면의 필요성이 높은 서비스직이 더 많은 영향을 받은 가운데 서비스직 내에서도 생활 필수요소인 의식(衣食) 및 의료보건 관련직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했지만 여행·문화와 같은 비필수 관련직에 대한 수요는 크게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감과 수입이 줄고 있는 직업 종사자들에게 소득지원과 직업훈련 등을 통해 재직자의 고용안정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고용정보원이 직업 세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1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것으로 500~600개의 직업을 선정한 뒤 직업별 재직 기간 1년 이상 경력자 30명을 대상으로 직업의 특성, 임금, 일자리 전망 등을 파악한 것이다. 조사기간은 2020년 8월~11월로 3개월간 실시됐으며 지난 20일 발표됐다.

김해뉴스 송희영 기자 editor@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