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감자였던 '이건희 기증관' 부지의 최종 후보지가 서울 용산과 송현동으로 결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7일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인근 용지를 최적지로 정했다고 밝혔다. 이건희 기증관 유치에 사활을 걸었던 전국 지자체들은 "무시" "폭거" "오만" 등의 원색적인 표현을 써가며 반발했다.
 
이런 배경에는 지난 5월 황희 문체부 장관의 언론 인터뷰 발언 영향이 컸다. 황 장관은 "많은 국민이 쉽게 관람할 수 있으려면 접근성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를 두고 사실상 서울을 점 찍어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번 결정을 두고 '설마했는데 역시나'라는 반응이 나오는 것도 그 이유다.
 
특히 경남에서는 고 이건희 삼성 회장과의 여러 인연을 언급하며 창원, 진주, 의령 등 지자체가 적극 나섰다. 명분도 충분했다. 최근 10년 간 세워진 국립박물관·미술관 21곳 중 38%인 8곳이 수도권에 몰려 있으며, 이 중 국립미술관 4곳 중 3곳이 수도권에 세워졌다고 한다. 이처럼 문화 분야에서도 수도권 쏠림 현상을 꼬집으며 "문화 분권과 국가 균형 발전 차원에서 수도권이 아닌 비수도권에 이건희 기증관을 유치해야 한다"며 비수도권 유치의 당위성을 피력했다. 
 
그런데 황 장관은 또 다른 언론 인터뷰에서 후보지 선정에 있어 '국민의 문화 향유' 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보다 많은 국민이 향유하고 관광 등 다른 산업 인프라와 연결해 가치를 끌어올릴 최적지가 서울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논리라면 '서울공화국' 오명을 벗기는커녕 확인시켜준 꼴 아닌가. 수도권이 아닌 대한민국에 사는 국민도 2500만 명이나 있다. 탈락한 지자체들이 허탈함을 넘어 왜 분노하는지, 소외된 민심을 어떻게 달랠지 지켜볼 일이다.      김해뉴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