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우여곡절 끝에 지난 1일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본격 도입·시행했다. 이는 창원시의 숙원 사업이기도 했다. 버스 준공영제는 버스 운영 서비스는 민간이 맡고, 재원과 서비스 관리는 지자체가 맡는 것을 말하는데, 궁극적으로 시민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준공영제를 도입하려는 가장 큰 이유다. 
 
2004년 서울시에서 처음 도입된 후 주요 광역시와 제주도가 도입해 시행 중이다.
 
창원시도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시는 준공영제 도입에 앞서 매년 400억 원을 시내버스 업체에 지원해 왔다. 그럼에도 불친절이나 난폭운전 등 시민 불만 민원은 계속됐다. 
 
그런데다 지난해 7월 파업 사태로 창원시내버스가 멈춰서는 사태가 벌어졌다. 출퇴근길 시민들은 발을 동동 굴렸다. 창원시는 인구 100만 명이 넘는 대도시이지만 아직 지하철이 없다. 때문에 지난해 시내버스 파업은 시민들에게 타격이 더 컸었다. 이로 인해 시가 준공영제 도입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됐고, 그 결과 지난 7월 그 결실을 맺게 됐다. 결과적으로 보면 시내버스 파업이 준공영제 도입에 전화위복이 된 셈이다. 
 
그러면서 시는 시내버스 민원 단골사항이었던 '과속·무정·불친절' 3무(無)를 약속했다. 여태껏 그래왔듯이 창원에서의 시내버스는 시민들의 발 역할을 톡톡히 해오고 있었다. 그래서 이번 준공영제에 대한 시민들이 거는 기대는 클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는 달라지겠지가 아니라 이번에는 달라져야 한다. 창원시의 버스 준공영제는 이제 첫걸음마를 뗐다. 기대가 실망이 되지 않게 창원시와 시내버스 노사가 합심하고, 무엇보다 시민들이 계속 관심을 가지고 매의 눈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김해뉴스 강승우 기자 kkang@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