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빈세(Tobin's Tax)'는 1970년대 초 미국 경제학자 제임스 토빈이 단기 외환거래에 세금을 매기자고 제안한 데서 유래됐다. 당시 미국은 베트남전 등의 영향으로 금 태환 정책을 포기한 상황이었다. 국제 금융시장은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고, 투기 목적의 단기적 자본 이동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토빈은 "달리는 수레바퀴 앞에 모래를 뿌리면 속도가 줄어든다"며 각 나라가 공조해 과세하면 자본 거래량을 조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과세로 말미암은 거래량 감소는 이미 고전경제학에서 증명된 사실이므로 금융시장에서도 적용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토빈의 논리에는 모든 나라가 적절한 세율에 합의해야 한다는 약점이 있다. 1984년 스웨덴이 혼자서 토빈세를 도입했지만, 국제 공조가 이뤄지지 않아 결국 폐지되고 말았다.
 
토빈세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은 2008년이다. 전 세계에 금융위기가 밀어닥치자 관련 논의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투기적 투자로 악명높은 펀드매니저 조지 소로스는 "나 같은 사람을 통제하려면 토빈세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유럽연합은 IMF가 토빈세 도입을 검토하라고 촉구했고, 2009년에는 브라질이 과감하게 토빈세를 부과했는데 큰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에서도 최근 들어 토빈세 논의가 활발하다. 정부는 한국이 브라질처럼 지역시장에 속하므로, 단독으로 과세를 시작하더라도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새 정부가 토빈세 도입을 검토하는 진짜 이유는 '증세 없는 복지'를 위한 세수 확보 목적에서 왔다고 보고 있다. 미국 투자금융회사 JP모건은 한국 정부가 채권거래세 0.5%를 매기면 연간 5천억 원의 세수 확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