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의료계에서 의약품 리베이트는 어쩔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한국에서 약값은 정부가 결정한다, 같은 성분의 약값이 같으므로 제약사는 품질과 가격으로 경쟁할 수 없다, 의사는 의사대로 의료수가가 낮아 적절한 수입을 올리기 어렵다, 뭐 그런 견해다.
 

2010년 11월 보건복지부는 이른바 '쌍벌제'를 도입해 리베이트를 받는 쪽도 처벌하겠다고 나섰다. 리베이트 비용이 커지면서 환자가 내는 약값이 지나치게 부풀려졌다는 질타 때문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2005년부터 3년간 국민이 3조 2천500억 원의 손해를 봤다고 주장했다.
 
이후 정부는 리베이트를 줬다가 들통난 제약사에게 해당 약값을 내리도록 명령했다. 리베이트를 받은 의사는 영업정지 등으로 처벌했다. 그렇게 해서 2012년 4월부터 6개월 동안 약값 지출 9천86억 원을 줄였고, 그만큼 국민 부담도 줄었다.
 
14일 복지부는 동아제약이 주는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의사 119명을 검찰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관련된 의사들은 "동아제약이 리베이트를 준 것이 아니라 사기를 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아제약이 동영상 강의를 한 의사들에게 48억 원을 주면서 "리베이트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는 이유다. 이들 중에는 3천600만 원을 챙긴 혐의를 받는 피의자도 있다.
 
의사협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변형된 리베이트라고 검찰 조사에서 인정한) 동아제약 불매운동을 벌이겠다는 목소리가 높다. 의사들은 이전에도 비슷한 이유로 한미약품의 매출을 떨어트려 제약사 대표에게서 공개사과를 받은 적이 있다.
 
이런 일부 의사들의 태도를 마주하는 여론의 시선은 곱지 않다.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의사가 어렵다는데) 왜 상위 1% 학생이 의대에 가고, 부모가 자식을 의대에 보내려 하며, 의사가 최고의 신랑감으로 평가받는가"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