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김해시가 주관한 김해신공항 주민간담회 직후 칠산서부동 등 7개 동·면 지역 주민 대표들이 참가한 김해신공항반대대책위가 설립됐다. 대책위 위원장을 맡은 류경화 칠산서부동 강동1통장을 만나 결성 과정, 향후 활동 계획 등을 들었다. 
 

 

류경화 ‘반대대책위’ 위원장
7개 동·면 주민대표 모여 결성



-주민들이 나서 김해신공항 반대대책위를 결정하게 된 이유는.
△지난 7월 7일 국회에서 열린 김해신공항 소음피해 대책 마련을 위한 주민토론회에 참석했다. 내려오는 버스에서 참가자들끼리 김해신공항 반대를 위한 주민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눴다. 이후 두 차례 김해신공항 주민설명회가 열렸다. 국토교통부 관계자가 나와서 진행하는 주민설명회는 주민들의 고통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가 아니었다. 김해신공항 건설사업의 명분을 쌓기 위해 위한 요식행위라고 생각했다. 두 번째 설명회 자리에 7개 동·면의 통장 21명과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주민대표들의 뜻을 모아 대책위를 결성하게 됐다.

-두 차례 김해신공항 관련 주민설명회에서 회의진행을 막는 등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개진했다. 김해신공항 사업에 반대하는 이유는 뭔가.
△정부가 소음대책을 내놓는다고 하지만 사실상 소음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없다. 결국 보상 이야기 밖에 안 된다. 부산 등 인근 지자체에서는 24시간 신공항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들의 의견을 수용해 서서히 운영시간을 늘리다 보면 결국 김해시민은 밤낮으로 항공기 소음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또한 김해신공항의 항공기는 바람의 영향, 지형지물, 해군기지 등 때문에 김해지역을 상공을 통과할 수밖에 없다.

지금도 소음피해가 큰데 김해신공항이 들어서면 막대한 피해를 되돌릴 수 없다. 촛불이 대통령도 바꿨는데 주민들이 들고 일어나면 국책사업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페이스북에 지역이기주의인 님비 현상이라면서 김해가 어느 정도 양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소음 피해지역에 살면서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국토교통부는 김해신공항 입지는 이미 주변 광역단체장들이 합의한 내용이기 때문에 재검토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신공항 입지 선정과정에서 5개 광역단체장이 합의했다고 한다. 최종 결정 전에 단체장들이 정부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것이지 김해신공항 합의는 아니다. 부산은 가덕도를, 경남은 밀양을 고집하는 상황에서 선택지에 없었던 김해가 신공항 입지로 결정됐다.

24시간 운영도 사실상 불가능하고 이·착륙이 제한적인 김해신공항이 최적인 조건이란 결과는 말이 안된다. 신공항 입지 선정은 다분히 정치적인 결정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사업비의 일부 차이를 근거로 김해가 최적의 입지라고 하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신공항 입지는 원점에서 재검토돼야 한다. 

-앞으로 대책위는 어떤 방향으로 활동할 예정인가.
△오로지 김해신공항 반대에 초점을 맞춰 활동할 생각이다. 정치 논리가 개입되면 안 된다. 국토부가 신공항 입지로 김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김해시민의 의견을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 지금 김해신공항 사업을 전면 백지화하고 외부위원회를 구성해 원점에서 논의해서 김해가 최적의 입지라는 결정이 나오면 받아들일 수 있다.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면 재정문제가 수반될 것이다. 자발적인 모금을 하겠다. 이를 통해 현수막, 팜플릿 등을 제작해 김해신공항 반대운동을 알리는 활동을 진행하겠다. 대책위 구성도 7개 동·면에서 김해시 전체로 확대하고, 김해공항시민대책위·김해공항소음대책협의회 등 기존 기구와도 함께 활동할 예정이다.

김해뉴스 /심재훈 기자 cyclo@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