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사진은 창원 광장과 시가지의 모습. 사진제공=창원시아카이브


1~2월 연속 감소세 기록
2월말엔 103만 5574명
올해 103만 유지 힘들 듯
김해 율하·진영 등지 유출
시"출산·보육 개선 집중"



창원시가 지난 1월 '인구 100만 사수 태스크포스(TF)팀'을 가동하는 등 인구 감소 문제 해결에 사활을 걸고 나섰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반전은 확인되고 있지 않다. 창원시 인구는 1월에 이어 2월에도 줄어든 가운데, 3월 감소도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창원 인구 103만 명도 올해 붕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온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월말 기준 창원시 인구는 629명이 감소한 103만 5574명이다. 마산합포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가 빠져나갔다. 세부적으로 미분양 아파트단지였던 부영주택의 월영마린애시앙이 있는 마산합포구 월영동이 1684명 증가로 가장 컸고, 교방동 154명·가포동 10명, 마산회원구 회원2동 56명, 진해구 웅동2동 372명 증가가 전부다.
 
지난 1월에도 창원 인구는 감소했다. 1월말 창원시 인구는 103만 6203명으로 지난달에 비해 535명이 줄었는데, 1월보다 2월의 인구 감소폭이 더 커진 것이 특징이다. 시에 따르면 인구 감소는 3월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창원시는 2019년에는 인구 105만 명이, 작년에는 104만 명이 무너졌다. 올해는 103만 명 유지가 어렵고, 일각에서는 2024년 이후엔 특례시 자격인 인구 100만 명도 깨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올해 초 허성무 창원 시장은 '인구반등'을 시정 핵심 목표로 내세웠다. 허 시장은 "청년들이 머무르고 꿈꿀 수 있는 도시, 청년들이 희망을 더해 나가는 '플러스 창원'을 만드는 데 더욱 집중하겠다"며 "지난 10년 간 겪어온 인구감소를 끊어내고 '플러스 성장'을 이루는 첫해를 완성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허 시장의 목표처럼 올해 인구 '플러스'와 '반등'은 가능할까. 창원시 관계자는 "솔직히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전국적인 인구 감소 상황에서 문자 그대로의 '반등'이 아니라 창원 인구 감소폭을 완만하게, 또 감소추세를 줄이는 것이 현실적인 반등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사실 인구감소는 창원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서울시 등록인구도 전년보다 9만9895명 줄어들어 32년 만에 1000만 명 밑으로 떨어졌고, 부산시도 8000명 자연감소했다. 300만 인구를 자랑했던 인천시도 295만 명 수준이 됐다. 지난해 총 출생아 수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30만 명 미만을 기록했고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사상 최저인 0.84명을 나타냈다.
 
이런 분위기에서 지자체별 인구증감은, 결국 뺏고 빼앗기는 '제로 섬(zero-sum)'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김해시는 오는 2035년까지 인구 68만 명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고, 양산시도 2030년까지 인구 50만 명 규모의 도시계획을 발표했다. 인근 지자체들의 인구 계획은 2023년까지 105만 명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는 창원에 당연히 영향을 끼친다.
 
특히 김해는 창원 인구 감소와 무관치 않다. 창원시 관계부서 관계자는 "지난 몇 년 동안 창원과 가까운 장유·율하와 진영 신도시를 김해시가 개발하면서 인구 유출이 컸다"며 "이런 식의 지자체별 인구 빼앗기 경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창원시는 단기적인 인구 유입 방안이 아니라 출산 장려와 보육 환경을 개선해 '아이를 낳고 기르기 좋은 곳'을 만드는 장기적인 계획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월말 기준 주요 지자체별 인구수는 김해 54만2254명이다. 전달에 비해 42명 줄어 변동은 크지 않지만 지난해 5월 이후부터 감소세가 이어지는 중이다. 양산은 1월보다 261명이 증가한 35만2682명으로 경남에서 가장 큰 폭의 인구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

김해뉴스 전형철 기자 qwe@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