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릉산 들머리인 고모리 공단에서 고령마을로 오르는 길. 육중한 성벽처럼 쌓아올린 축대 사이로 파릇파릇 풀들이 소담스럽게 손을 흔들며 길손을 맞이한다.
봄이 완연해지면서 김해의 산과 들은 꽃망울 벙그는 소리, 새싹 틔우는 소리로 소란스럽다. 마치 팝콘 터지듯 톡톡 터뜨려대는 봄꽃들이, 사람의 가슴을 알록달록 물들여 놓고 있다. 나그네의 마음속을 온통 연두색으로 덧칠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산행은 주촌 쪽에 있는 무릉산(武陵山)을 오른다. 신선이 산다는 선계(仙界)의 '무릉도원(武陵桃源)'과 한자가 같은 산이다. 선계의 절경과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군데군데 신선놀음의 흔적들이 남아 있어 '한량들의 놀이터'로는 손색이 없겠다.
 
진례면 고모리 공단에서 고령마을 오르는 길을 들머리로 삼아, 고령마을 고개에서 산길로 접어들어 정상을 오른 후, 너럭바위, 단감 과수원을 거쳐 병동공단으로 하산하는 코스다. 등산로 따라 노란 생강나무 꽃들이 심심찮게 꽃잎을 열어, 산행의 재미를 더해주는 코스이기도 하다.
 
동서대로를 타고 진례로 향한다. 김해시가지가 차창 밖으로 바람처럼 휙휙 지나친다. 편안한 모습으로 누워 있는 벌판은 푸른빛을 더하고, 산기슭에는 연두색 봄물 묻은 새싹들이 나뭇가지마다 조랑조랑 걸려 있다. 이제는 온 세상이 봄기운으로 가렵기만 하다.
 
고모리 공단에서 고령마을로 오르는 길. 길 입구에는 성벽처럼 쌓아올린 육중한 축대가 버티고 섰다. 그 돌들 사이로 파릇파릇한 풀들이 소담스레 손을 흔든다. 꼬불꼬불 비탈길 곳곳에는, 매화꽃과 목련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그 꽃잎 위로 햇볕 한 자락 고요히 내려앉는, 나른한 봄날 오후의 여유로운 산행이다.
 
오르는 길 아래로 공단이 자리 잡고 있고, 그 뒤로 진례벌판과 남해고속도로가 시원스레 펼쳐져 있다. 고깔 쓴 것처럼 오뚝한 태숭산과, 그 주위의 산줄기들이 파도를 그리듯 부드러운 능선을 이루고 있다.
 
길은 계속 '이리 구불 저리 구불' 하며 산을 오른다. 길 왼쪽으로 무릉산 줄기가 동그마니 앉아 있고, 그 아래로 소나무들이 칡넝쿨과 함께 이리저리 얽혀 수풀을 이루고 있다. 가파른 경사를 제법 올랐다 싶더니, 곧 고령마을 고갯길에 닿는다.
 
고령마을 고갯길에서 왼편으로 오솔길이 언뜻 보인다. 길 따라 무릉산 숲길로 들어선다. 메마른 소나무 숲 밑으로 푸른 이파리들이 일제히 고개를 내밀고, 생강나무 두어 그루 노란 꽃잎을 방울처럼 달고 딸랑거린다. 멀리 진례의 능선들이 편안하게 이어진다.
 
낙엽을 헤집고 솟아오르는 무한한 생명들도 바스락대며 눈을 뜬다. 양지나물도 곧 꽃잎을 열겠고, 제비꽃도 곳곳에서 꽃을 틔울 준비를 하고 있다. 운지버섯 주위로는 푸른 이끼들이 파랗게 군락을 이루고 둘러앉았다. 마삭덩굴의 이파리도 반질반질 파란 몸피를 드러냈다. 이미 산 속은 한창 축제의 나날인 것이다.
 
작은 봉우리에 발을 딛는다. 오래된 바윗돌 하나, 참나무와 소나무 사이에 몸을 기대고 앉았다. 머리 위에는 수북하니 솔가리를 모자처럼 덮어쓰고, 온몸에는 담쟁이덩굴 이파리로 옷을 지어 입었다. 세월의 흔적을 훈장처럼 달고 있는 멋쟁이 노신사 같다. 그러나 지금은 알몸으로 나른한 봄볕 맞으며 일광욕 중이시다.
 
산길은 오래도록 산보하기 좋은 오솔길이다. 주위가 편안하게 늙은 느낌이다. 무릉산은 생명의 노화가 끝나고, 새로운 생명이 다시 시작되는 '신생(新生)의 숲' 같다. 곳곳에 늙은 참나무가 제 명을 다하여 스러지고 또 흙으로 돌아가면서, 그 등걸 아래로 꼬물꼬물 여러 벌레들이 집을 짓고 살아가고 있다.
 
그들 주위로는 서서히 푸른 기운이 차오르고 있다. 새로운 '식물들의 삶'이 시작되는 것이다. 죽음에서 다시 새로운 삶으로 윤회하는 과정, 바야흐로 무릉산에는 그 우주의 섭리가 진행되고 있음이다. 말 그대로 '무릉(武陵)의 세계'가 열리는 지금이다.
 
길 양쪽으로 서 있는 참나무 두 그루. 칡넝쿨이 나무와 나무 사이를 얽어 마치 큰 대문을 만들어 놓았다. '겨울의 문'을 나와 '봄의 마을'로 돌아가는 길. 그렇게 무릉도원의 세계로 한 발씩 걸어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단조롭고 편안한 능선은 사람을 사색의 길로 안내한다. 허리 꺾어 발아래 어린 것들 겸허히 마주하고, 허리를 펴 멀리 낙남정맥 마루금을 경이롭게 바라본다. 발아래는 발아래대로 마루금에는 마루금대로, 각각의 삶의 방식과 철학적 깊이가 있을 터이다. 이런 작은 깨달음 때문에 나그네들은 산을 오르는 것이리라.
 
▲ 바가지를 엎어놓은 듯 둥그런 모양의 정상부가 마치 잘 가꾼 왕릉을 닮았다.
작은 봉우리 두어 개 넘자 동그맣게 봉우리가 보인다. 무릉산 정상부다. 정상부는 바가지를 엎어놓은 듯 둥그렇다. 마치 왕릉처럼 잘 생겼다. 그 사이로 참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낙엽을 밟자 버석버석 심하게 아우성이다. 겨울의 가뭄을 고스란히 견딘 탓이겠다.
 
정상부에 선다. 정상에는 족히 50여 년은 살았을 법한 벚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아직까지 꽃잎을 달진 못했다. 못내 아쉽지만, 벚꽃 자지러지는 달밤에 서면 그야말로 '무릉도원'이 따로 없겠다.
 
꽃비가 화르르~ 날리는 달밤에, 향기 좋은 술 한 잔 곁들이면 '인간과 신선의 경계'가 무의미해지는 것이다. 문득 중국의 시선(詩仙) 이백의 시가 생각난다.
 
花間一壺酒(화간일호주)
꽃 사이에 놓인 한 동이 술을
獨酌無相親(독작무상친)
친한 벗 없이 홀로이 마시네.
擧盃邀明月(거배요명월)
잔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니
對影成三人(대영성삼인)
그림자와 함께 셋이 되었구나.
<이백(李白)의 월하독작(月下獨酌) 중>
 
고개를 들어 고령마을 쪽을 바라본다. 골프장 공사가 한창이다. 공사장의 기계소리와 붉은 맨몸의 산등성이가 아프기만 하다. 그러거나 말거나 황새봉은 의연하게 우뚝 솟아 홀로 청청하다. 그 오른쪽으로 진례의 산줄기들이 낙남정맥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 정상의 삼각점.
몇 발자국 더 옮기니 삼각점이 보인다. 높이는 313m이고 위치는 김해시 이북면 병동리 산 196로 표기되어 있다.
 
산을 내린다, 오르는 길과 달리 소나무가 빽빽하게 숲을 이루고 있다. 가파른 산길에 솔가리가 수북하게 쌓였다. 푹신푹신한 것이 마치 부드러운 모래언덕을 내리는 기분이다. '사그락사그락' 모래 흐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그 길 따라 물 흐르듯 휘적휘적 산을 내린다.
 
군데군데 생강나무가 보이기 시작하더니, 길을 내릴수록 더 많아진다. 그 사이로 철탑 하나씩 보이고, 내리던 길이 오름세로 바뀌며 또 한 봉우리 다가온다. 두 번째 철탑 쪽에서 흙계단을 딛고 오르니 전망대 바위가 든든하게 서 있다.
 
▲ 오른쪽 사진은 큰 노송 두 그루 사이에 만들어놓은 자연평상.
지금은 소나무에 가려 조망이 시원찮지만 한 때는 여러 한량들, 너럭바위에 꽤나 앉아 신선놀음들을 했겠다. 너럭바위 옆으로는 큰 노송 두 그루 서 있고, 그 노송을 잇듯 나무기둥을 얹어 자연 평상도 만들어 놓았다. 햇볕도 따뜻하니 들고 바람마저 신선하게 불어온다. 잠시 쉬다보면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르겠다.
 
다시 편안한 길을 내린다. 간벌이 잘된 참나무가 여유롭고, 그 사이로 봄의 산길이 사람 마음을 포근하게 한다. 어디선가 계속 향기로운 꽃냄새가 따라오는데, 주위를 아무리 둘러봐도 그 출처를 찾을 길 없다. 곳곳에 생강나무가 노란 꽃불을 켜고 있으니 그들이겠거니 짐작만 할 뿐이다.
 
또 한 봉우리 시부저기 넘는다. 사그락대는 낙엽 밟는 소리만 들릴 뿐 길은 적막강산이다. 잠시 가는 걸음 멈추고 시야가 트인 곳에서 태숭산을 바라본다. 삿갓 모양의 작지만 다부진 산이다. 그 뒤로 응봉산, 금병산 등 진영의 산들이 눈에 들어온다.
 
길은 잠깐 동안 급하게 떨어진다. 그리고는 적당한 경사로 꾸준히 낮아진다. 그 길 따라 바윗돌 몇 개씩 서 있고, 길을 막고 선 큰 바위 곁에 생강나무 한 그루 보인다.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노란 등불을 켜고 있는 것 같다. 그 노란 불빛이 봄의 길목을 깜빡깜빡 지키고 있는 것이다.
 
한소끔 경사가 뚝 떨어지더니 시야가 확 트인다. 산의 날머리 근처에 있는 단감 과수원에 들어선 것이다. 앞을 보니 김해 동서대로가 시원하게 뻗어 있고, 그 앞으로 병동공단이 펼쳐져 있다. 주말인데도 공장의 기계음들이 한창 시끄럽다.
 
그 소리에 깼는지 감나무 이파리들이 부스스 눈을 뜬다. 제 눈들 부비며 살짝 기지개를 켜는 것이다. 이미 곁의 매화꽃들은 '지지배배' 꽃망울 터지는 소리로 소란스러운데 말이다.






최원준 시인 /문화공간 '守怡齊수이재' 대표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