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면 1=지난 3월 22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열린 '전국 대도시시장협의회'. 김해시가 협의회 회원으로 가입되는 순간이었다. 대도시시장협의회는 인구 50만 이상의 기초자치단체들이 가입해 있는 기구이다. 지난 2003년에 결성됐으며, 지방자치법을 통해 '대도시 특례' 조항을 이끌어낸 힘있는 협의체다. 이 자리에서 김맹곤 김해시장은 "김해는 동남권 최고의 약동하는 도시이다. 세계화·지방화 시대의 공동번영과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장면 2=지난 4월 중순 경기도 수원시에서 열린 대도시협의회 실무회의. 김해시를 비롯한 15개 회원도시는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사무·행정·재정에 관한 특별법안'을 공동추진하기로 하고 머리를 맞댔다. 김해시는 보도자료를 내 "김해시는 명실상부한 대도시로서 협의회 회원 시들과의 적극적인 공조를 통해 대도시에 걸맞은 자치역량을 확보하고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홍보했다.
 
위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김해시가 대도시로 승격되면서 김해시정이 아연 활기를 띠고 있다. 관련 조례를 검토하는 한편 조직과 제도를 손질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의 격을 높인다는 취지에서 '의전·예우 가이드라인'을 새로 마련했다.
 
하지만 김해시의 움직임과 달리 시민들의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정작 시민들은 '대도시의 시민'이라는 점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김해뉴스>는 민선 5기와 제6대 시의회의 전반기 활동이 마무리되는 시점을 맞아 김해 시민 60여 명을 대상으로 '김해와 대도시 승격'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김해시는 올해 1월부터 지방자치법 '대도시 특례 조항'에 따라 경남도가 관장해 온 환경·자동차 운송·보건의료·지적에 관한 사무 등 총 18개 사무를 직접 처리할 수 있게 됐다. 또 도시계획과 도시개발·주택건설사업 등의 계획 결정·승인 권한도 경남도지사에서 김해시장에게로 넘어왔다.
설문조사 결과, '대도시 특례 조항이 김해에 적용되는지를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56.3%, 36명)이 '안다'고 응답한 비율(43.8%, 28명)보다 높게 나왔다. '모른다'고 대답한 층은 주로 대학생, 주부, 문화계 종사자 등이었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았다. 김해시의 홍보가 미흡했다는 방증인 셈이다.
 
'김해시의 인프라(생활·산업 관련 시설) 중 미흡하다고 생각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문화(31.3%)와 교통(31.3%)이 동률로 가장 높게 나왔다. 그 다음은 의료(17.2%), 교육(10.9%), 복지(7.8%) 순이었다. 교통 분야가 미흡하다고 응답한 시민들 중 상당수는 '부산~김해 경전철이 들어섰지만 김해 시내와 읍·면 간의 대중교통 연결 체계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해지역에 설치가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호텔이 34.4%로 가장 많았고, 대학병원(32.8%), 백화점(21.9%), 운전면허시험장(3.1%), 법원·검찰청(1.6%)이 그 뒤를 이었다.
 
'호텔'을 지목한 응답자들은 '호텔 등 제대로 된 숙소가 부족해 큰 행사를 유치하기 힘들다. 행사는 김해에서 유치했지만 부산·창원 등지로 손님들이 이탈한다'고 부언했다. '대학병원 설립'을 희망한 시민들은 '좋은 의료시설과 믿을만 하고 실력이 뛰어난 의료진을 갖춘 병원이 없어 서울·부산 등 다른 도시로 가야 해 불편하다'고 지적했다.
 
행정 전문가들은 "김해가 대도시로 급성장했으나, 체격은 크되 체질은 상대적으로 약한 실정에 처해 있다"면서 "김해시는 조바심을 내지 말고 시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차분하게 발전을 도모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김해뉴스> 취재보도팀 기자들이 정치·경제·문화·사회 분야로 나눠 모두 64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했다.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